행정법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07 03:01
본문
Download : 행정법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hwp
행정법상공무원의위법한직무행위로인한손해배상1 , 행정법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법학행정레포트 ,
I. 배상책임의 요건
1. 공무원
여기서 공무원은 광의로 파악하여 국가공무원법·지방공무원법상의 공무원 뿐만 아니라 널리 공무를 위탁받아 이에 종사하는 모든 자를 포함한다.
b. 판례는 국가배상법에도 보호이익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이 적용된다고 하여 공무원에 부과된 의…(drop)
다.
4) 판례 : 과거에는 최광의설에 입각한 적이 있으나 오늘날에는 광의설에 입각하고 있다
(2) 직무행위의 내용
1) 부작위로 인한 손해
i) 법적 보호이익설 적용의 문제
a. 국가배상법 제2조는 단순히 법령에 위반하여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행정기관에 의한 위법한 공권력 행사가 있고 그에 의해 개인의 권익이 침해된 경우에는 국가 등의 배상책임이 인정되는 것이고 행정청이 피해자와의 관계에서 그러한 손해를 방지해야 할 직접적 의무를 부담하는지 여부는 배상책임과 무관하다.
Download : 행정법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hwp( 12 )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2. 직무집행행위
(1) 직무집행의 범위
1) 협의설 : 권력작용만을 의미한다.
2) 광의설 : 권력작용 외에 단순공행정작용(관리작용)포함. 널리 행정작용 중에서 영조물의 설치·관리작용과 사경제적 작용을 제외한 모든 공행정작용을 의미한다.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행정법상공무원의위법한직무행위로인한손해배상1
행정법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3) 최광의설 : 사경제적 작용까지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