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6 09:46
본문
Download :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 연구.hwp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1.gif)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2.gif)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3.gif)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4.gif)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5.gif)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20연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8A%B9%EC%88%98%EA%B5%90%EC%9C%A1%5D%EC%96%B8%EC%96%B4%EC%9E%A5%EC%95%A0%EC%95%84%EB%8F%99%EC%A1%B0%EC%82%AC,%20%EC%97%B0%EA%B5%AC_hwp_06.gif)
Download :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 연구.hwp( 54 )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15
설명
언어 장애 아동의 property(특성)과 지도방법을 조사한 것입니다.(예: 그랬어요→그랬으..)
-접속사를 거의 사용하지 못한다.
-질문을 했을 때 문장성분(成分)이 제대로 갖추어진 문장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목차를 참고해주세요 ~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 연구
순서
언어 장애 아동의 특성과 지도방법을 조사한 것입니다.
-명사형이나 관형사형 전성어미의 활용 또한 활발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주격조사, 여격조사, 공존격 조사 등 조사의 활용이거의 이루어 지지 않는다.
-표현 언어
·표현 언어에서 조음장애로 인해 발음상의 약간의 문제가 나타나고 있지만 의사소통에 큰 影響(영향)을 줄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skip)
,인문사회,레포트
다.
-복문 사용이 거의 되지 않는다.
-3세경 우리말 기본 구보를 활발하게 사용하는 일반적 발달(주어+부사어+서술어, 주어+주어+서술어, 주어+주어+서술어, ‘서술어+{주어, 목적어}+서술어)과 달리 주어+서술어 위주의 문장을 주로 사용한다.목차를 참고해주세요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15 , [특수교육]언어장애아동조사,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조사 아동의 언어 속성
⑴구문론적 속성
-두 단어 이상을 사용한다. 보통 서술어 위주의 단어를 주로 사용한다.
-부정어 실수라든지 조사 skip 등은 나타나지 않는다.
⑶화용론적 속성
-수용 언어
·언어 수용에는 그렇게 큰 問題點이 발견되는 않으나 긴 장문의 이야기를 해줬을 경우 잘 이해하지 못한다.
⑵형태론적 속성
-발음이 정확하지 않으며 서술어 중 종결형 어말어미를 흐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