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8 13:54
본문
Download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hwp
(1) 만일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이 서구 다다이스트들이 보여준 실험시의 형태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면 다다의 어떤 속성과 관계하기 때문인가? 즉 다다 이념과 다다이스트들의 시에 적용된 구체적인 작업논리는 무엇인가? (2) 이상이 시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작업논리는 무엇이며, 그것은 시어와 구조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었는가? (3) 이상 시는 다다와 이를 계승하는 `具體詩`로 표명되는 현대 실험시의 맥락과 비교해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4) 결론적으로 위에서 밝혀진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은 시각예술에 있어 어떠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가?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최근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들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들을 추적하고자 하는데 있따 (1) 만일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이 서구 다다이스트들이 보여준 實驗(실험)시의 형태와 유사한 성격을 갖고 있다면 다다의 어떤 속성과 관계하기 때문인가? 즉 다다 이념과 다다이스트들의 시에 적용된 구체적인 작업논리는 무엇인가? (2) 이상이 시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작업논리는 무엇이며, 그것은 시어와 구조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었는가? (3) 이상 시는 다다와 이를 계승하는 `具體詩`로 표명되는 현대 實驗(실험)시의 맥락과 비교해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가? (4) 結論(결론)적으로 위에서 밝혀진 이상 시의 시각적 속성은 시각예술에 있어 어떠한 가치와 의미를 갖는가?
다. 이 중 오감도 계열의 총 15편의 시에 마주향하여 는 기본적으로 같은 맥락에서 쓰여진 것으로 간주하지만, 본 연구의 논의상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부 시(시제1호~시제5호)로 범위를 제한하기로 한다. 또한 연구자는 같은 시기 `카톨릭 청년` 등지에 이상이 발표했던 다른 시들도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시키고자 한다.
순서
연구 대상과 범위에서 본 연구자는 이상의 초기 시 형태를 대상으로 分析(분석)하고자 한다.
II. 다다의 이념과 성격
과연 다다란 무엇인가? 규명에 앞서 먼저 전제해야할 것이 있다 다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예술사조 또는 문학운동과는 달리 뚜렷하게 특정 `이즘` 또는 `운동`의 차원에서 일반화될 수 있는 성…(省略)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
설명
Download : 시각예술의 관점에서 본 이상 시의 혁명성.hwp( 82 )
최근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들로부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의문점들을 추적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상의 초기 시란 그가 애초에 일상적인 한글언어를 사용한 초기 소설류를 선보이면서 조선총독부 건축과 기관지 「조선과 건축」에 발표한 일어로 쓴 일련의 시, 즉 `이상한 가역반응`(1931.7),` `오감도`(1931.8),‘삼차각 설계도: 선에 관한 각서` 시리즈(1931.10),‘건축 무한 육면각체`(1932.7)와 연작시로 「조선중앙일보」(1934.7.24~8.8)에 발표한 오감도 계열의 한글로 된 시들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