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1 20:25
본문
Download :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hwp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
레포트/기타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 ,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기타레포트 , 우리말 문법 품사 분류 용언 문제와 답
1. 다음의 예를 사용하여 용언의 특징을 설명(說明)하시오.
(보기) 먹다, 작다용언의 특징은 두 가지가 있따
첫째, 실질적인 뜻을 가진 말이며, 여러 가지 문법적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형태가 변한다. 즉, 활용(活用, 꼴바꿈)을 한다. 아래의 예문을 보자.
(1) ㄱ. 먹다/ 먹으니/ 먹네/ 먹는구나
ㄴ. 작다/ 작으니/ 작네/ 작-구나
(1)의 보기처럼 ‘-다, -으니, -네, -(는)구나’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주어로 표현되는 대상(주체)의 움직임, 속성, 상태, 존재의 유무를 풀이하는 기능이 있따 즉, “먹다”의 경우는 주어로 표현되는 대상(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이며, “작다”의 경우는 주어로 표현되는 대상(주체)의 속성,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이다. 그 외에도 주어로 표현되는 대상(주체)의 존재의 유무를 풀이하는 존재사 등이 있따2. 다음의 예를 사용하여 동사와 형용사를 구분하는 기준을 설명(說明)하시오.
(보
우리말,문법,품사,분류,용언,문제와,답,기타,레포트






Download : 우리말의 문법 - 품사의 분류 용언 문제와 답.hwp( 76 )
순서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