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3 05:26
본문
Download :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hwp
2) 간이학교는 수업 연한 2년에 80명 정도의 1개 학급만을 설치할 수 있는 학교로, 보통학교에 연결되는 기관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완전한 종결교육기관이었다.
9. 간이학교제의 도입
1) 1920년대 이후 한국인의 교육열 증가로 보통학교 증설 운동을 전개하자 일제는 ‘간이학교’로 대응하였다.
2) 이는 보통학교 또는 고등보통학교 이상의 교육이 없다는 것을 내보이기 위한 것으로, 우리 교육을 저급화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행한 것이다.
3) 그래서 조선에는 대학을 설치하지 않고, 필요하면 실업기능교육만을 시키려 했다.
2) 또 중학교는 고등학교(고등보통학교)로 개칭하고 7년의 수업연한을 3~4년으로 단축하였다.
2) 소학교에는 ‘국어를 상용하는 자’, 즉 Japan인이 다닐 수 있게 하고, 보통학교에는 ‘국어를 상용하지 않는 자’, 즉 한국인을 다니게 하는 복선제를 실시함으로써 조선에 있는 Japan인과 한국인의 discrimination교육을 실시하고자 한 것이다.
6. 외국어학교와 성균관의 폐지
1) 일제는 외국어학교를 폐지하여 한민족의 해외진출과 교류를 억제하고자 하였다.
2) 이러한 의도는 보통학교의 목적을 “실용에 맞는 인물을 만드는 데에 있다 ”고 한 데라우치 총독의 훈시에서도 드러난다.
2) 이의 도입으로 보통학교 교육과정은 풀베기, 가축돌보기, 실습지 청소, 판매 등의 노력봉사로 상당부분 채워져 학교수업이 빈약하기 그지없게 되었다.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일제 우민화 교육정책
인문,일제,우민화,교육정책,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8. 국민학교령(1941)
1) 일제는 ‘소학교’라고 부르던 초등교육기관을 1941년 ‘국민학교’로 개칭한다.
2) 이는 단순한 명칭의 변경이 아니라 초등학교를 군국주의의 연병장으로 만들기 위한 일제의 군국주의적 야욕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레포트/인문사회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1. 학교명칭의 변경
1) 일제는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중학교를 고등보통학교로 그 명칭을 바꾸었다.
2) 그리고 그 동안 무상이었던 수업료를 징수하여 가난한 사람들의 취학기회를 억제하기도 하였다.
2) 또한 성균관을 폐지하여 경학원으로 대치하여 전통교육을 말살하려 했다.
Download : [인문]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hwp( 17 )
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4년제 상공학교도 2년으로 단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