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전자정보통신 생산 3.1% 증가 `282조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4 00:02
본문
Download : 101015011906_.jpg
이 展望(전망) 치는 주요 업체의 전문가 조사와 국내외 연구기관의 展望(전망) 치, 그동안의 통계를 활용한 시계열 분석모델을 적용해 작성됐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kr
내년도 우리나라 전자정보통신산업 국내 생산이 올해보다 3.1% 증가한 28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전자정보통신 생산 3.1% 증가 `282조원`
14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는 `2010 한국전자산업대전 · 스마트코리아`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1년 IT산업 展望(전망) `을 발표했다.
반도체 역시 스마트 기기의 수요 증가에다 국내 업체의 주도권이 유지되면서 4.5% 수출이 늘어날 展望(전망) 이다. 수출 역시 5.8% 늘어난 1596억달러로 관측되는 등 내년에도 전자 · IT가 국가 산업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展望(전망) 이다. KDI가 내년도 예상한 우리나라 전체 수출 규모는 4915억달러다. 특히 새로운 정보기기가 많아지면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한 전자부품의 세계 시장 수요는 18.2%의 높은 성장세가 예상됐다.
내년도 세계 시장에서 전자정보통신 제품 수요는 올해보다 5.1% 늘어난 35억1500만대로 점쳐졌다.
순서
Download : 101015011906_.jpg( 40 )
다. 3D · LED · 스마트폰 등의 수요 확산에다 스마트 TV · 넷북 · 전자책 등의 신제품 출시로 내년에도 IT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휴대폰은 2.9%, 디지털TV는 1.4%, 주요 가전제품은 0.8%의 수출 확대가 예상됐다.
내년도 이 부문 수출은 디스플레이가 주도할 것으로 관측됐다.
내년 전자정보통신 생산 3.1% 증가 `282조원`
레포트 > 기타
내년 전자정보통신 생산 3.1% 증가 `282조원`
설명
품목별 전자정보통신 부문 생산은 휴대폰 등 통신기기가 2.1% 늘어난 59조1000억원, PC 등 정보기기가 1.1% 증가한 1조1000억원, 전자부품이 3.4% 증가한 162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展望(전망) 됐다.
내년 전자정보통신 생산 3.1% 증가 `282조원`
전상헌 KEA 부회장은 “업계는 적극적인 투자로 IT산업의 스마트화에 발맞춰 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government 는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확보와 기술 개발을 적극 유도하는 한편, 국내 생산시설 투자에 대한 세제 지원 등을 통해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프리미엄 가전 등 기reaction response용기기는 4.0% 증가한 36조1000억원으로 예상됐다.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과 넷북 · 전자책 등의 수요가 느는데다 국내 기업의 생산 능력, 기술경쟁력 우위가 이어지며 9.2%의 수출 증가가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