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6개 업종 최종 선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1 02:12
본문
Download : 2004040.jpg
참여업체 중 오프라인 기업이 90% 가량 차지해 협업을 통한 e비즈니스화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分析됐다.
유영환 산자부 산업정책국장은 “이번 5차 시범사업 심사에는 26명의 각계 전문가가 참여했으며 구성된 컨소시엄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고 사업성과 연계해 B2B전자상거래를 확산해 나갈 수 있는 의지가 있는 업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했다”며 “내년에도 50개 업종까지 확대해 나가는 한편 기존에 추진중인 업종에 관련되어도 엄격한 잣대를 적용함으로써 B2B 시범사업의 성공모델 창출에 역점을 둘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협약은 오는 7월경에 체결될 예정이며 예산은 소급적용된다된다. 산자부는 원칙적으로 사업기간 2년 동안 신규 6개 업종의 B2B 인프라 구축을 위해 민간과의 매칭펀드 형태로 총사업비 중 최대 70% 이내를 지원할 예정이다.
◇오프라인업체 지원 강세= 지난해에 이어 업종별 온·오프라인 컨소시엄 공모방식으로 진행된 5차 시범사업 업종 선정에는 총 16개 컨소시엄에서 385개 기업과 단체가 참여했다. 서면심사 결과, 신청한 LED 업종은 컨소시엄 구성 미비로 탈락해 총 15개 컨소시엄이 심사를 받았다.
Download : 2004040.jpg( 93 )
레포트 > 기타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서동규기자 dkseo@etnews.co.kr>
순서
다.





이와 관련 산자부와 한국전자거래협회는 8일 신규업종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시범사업 개요와 운영 규정, ISP 수립 事例 등을 紹介(소개)할 계획이다. ISP 수립 결과가 충족치 않을 경우 예산을 삭감하고 사업기간도 1년으로 제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심사에 해당 업종의 오프라인 기업 참여도를 비중 높게 반영키 위해 참여기업의 요구分析 결과, 해당 업종의 참여기업 수, 재원조달 대안 등을 검토했다.
김창룡 전자상거래 과장은 “수산 등 1차 산업에서부터 플랜트 산업과 같은 기간산업, e러닝 등 지식집약적 신산업 분야까지 예년에 비해 다양한 업종이 선정돼 전체 산업의 e비즈니스 기반 구축에 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산자부, 6개 업종 최종 선정
◇ISP 수립 후 지원액 결정= 4차 시범사업까지는 협약을 체결하고 곧바로 정보화戰略계획(ISP)을 수립하고 사업비를 지원해왔다. 산자부는 지난 26일 신규업종 선발을 위해 민간심사위원회를 개최해 e비즈니스 적합성, e비즈니스 모델의 타당성 등 총 6개 심사항목을 기준으로 총 3개 분과로 나눠 진행했다. 신규 업종에는 연간 총 33억여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어 업종별 평균(average) 지원규모는 연간 5억5000만원 내외가 될 展望(전망) 이다. 그러나 이번에 달라진 것은 4∼6월까지 3개월간 ISP를 수립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 사업비를 차등 배정한다는 점이다. 또, 업종의 e비즈니스화를 위한 모델 구현 및 이번 시범사업 내용 외에 성과 활성화를 위해 향후 민간 자체적으로 추진할 사업화 계획도 심사에 반영했다.
또, 현재 추진 중인 2∼4차 업종에 관련되어도 실거래 활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평가해 성과가 부진한 업종은 과감히 정리(整理) 하는 등 B2B사업 성공모델 창출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2004년도 산업부문 B2B네트워크 구축지원사업(제5차 업종별 B2B시범사업)의 신규 지원 대상업종으로 계측기기·공예·수산·e러닝·프랜차이즈·플랜트 등 6개 업종이 선정됐다.
설명
산자부, 6개 업종 최종 선정
산자부, 6개 업종 최종 선정
산자부, 6개 업종 최종 선정
◇심사 ‘성공가능성’에 초점= 신규 업종 선발 심사는 주관기관의 지속적인 B2B 사업 의지와 사업 성공 가능성을 주축으로 진행됐다.
◇6차 시범사업도 추진= 산자부는 전자상거래율을 현재 총거래액의 16.7%에서 2007년까지 3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내년에 6차 업종별 B2B시범사업을 실시할 5개 신규업종을 추가로 선발해 1차부터 6차까지를 모두 합쳐 50개 업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올해 지원 업종들이 대부분이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신청하는 등 e비즈니스 사업을 지속적으로 준비해온 것도 나타났다.
산업자원부는 시범사업에 참여한 총 16개 컨소시엄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 의지 △성공 가능성 △파급효과 △공공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해 상위 6개 업종을 신규 지원 대상으로 선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