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범주[정신장애의 개념과 국제질병분류[ICD-10]와 미국의 진단 및 통계편란[DSM-IV]에서의 정신장애 분류와 그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9 10:17
본문
Download : 장애 범주[정신장애의 개념과 국제질병.hwp
다른 의학이나 과학에서의 concept(개념)들처럼 정신장애의 concept(개념) 역시 모든 상황을 포괄하는 일관된 조작적 定義(정의)가 결여되어 있다아 모든 의학적 상태는 다양한 수준의 concept(개념) 추출에 따라 定義(정의)된다.
Download : 장애 범주[정신장애의 개념과 국제질병.hwp( 31 )
미국정신의학회의 DSM-IV에서는, 정신장애라는 용어는 환원주의적이고 이원론적인 concept(개념)을 바탕으로 한 정신장애와 신체장애의 구별을 함축하고 있다아 일부 정확한 문헌들은 정신장애에는 신체적 요소가 많이 있고, 신체장애에는 정신적 요소가 많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아 정신장애라는 용어의 사용은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DSM-IV에서는 적절하게 바꿀 만한 다른 용어를 찾지 못했기 때문에 이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아
장애 범주,정신장애,국제질병분류,ICD-10,통계편란,DSM-IV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최근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정신장애가 우리나라에서 자리를 잡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정신보건법」조차 지난 1968년 이후, 법 제정을 위해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 한국정신의료사회사업가협회, 한국정신보건가족협회와 가족들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1995년이 되어서야 법적으로 제정되게 되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범주를 지나치게 신체구조 및 기능상의 기준으로 판정함으로서 정신장애를 「장애인복지법」이나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 규정하는 사회보장이나 직업재활 서비스에서 배제시켜왔다.
장애 범주[정신장애의 개념과 국제질병분류[ICD-10]와 미국의 진단 및 통계편란[DSM-IV]에서의 정신장애 분류와 그 차이점에 대해]
순서
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범주를 지나치게 신체구조 및 기능상의 기준으로 판정함으로서 정신장애를 「장애인복지법」이나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서 규정하는 사회보장이나 직업재활 서비스에서 배제시켜왔다.
우리는 아직까지 어떠한 定義(정의)도 적절하게 정신장애의 concept(개념)에 대한 정확한 경계선을 제공할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 예컨대 구조적 병리학(예: 궤양성 대장염), 증상 출현(예: 편두통), 생리적 규준norm에서의 이탈(예: 고혈압), 그리고 原因론(예: 폐렴구균성 폐렴). 이와 마찬가지로 정신장애 역시 다양한 concept(개념)에 의해 定義(정의)되어 왔다(예: 고통, 통제 장해, 손상, 무능력, 비융통성, 비합리성, 증후군 양상, 原因론, 통계적 이탈). 이들은 각 정신장애에 대한 유용한 지침이지만, 어떤 것도 concept(개념) 수준에 도달하지 못함으로써 특정 상황에 대한 특정 定義(정의)가 요구되고 있다아
최근 들어 이슈가 되고 있는 정신장애가 우리나라에서 자리를 잡기 처음 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정신보건법」조차 지난 1968년 이후, 법 제정을 위해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사회복지협의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한의료사회사업가협회, 한국정신의료사회사업가협회, 한국정신보건가족협회와 가족들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1995년이 되어서야 법적으로 제정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