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5 19:50
본문
Download :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hwp
V -S
= dP + dT
, G =H -TS , H=U+PV , U=Q-W , dW=PdV , dQ=TdS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설명
dH=dU+dPV+dVP=TdS-PdV+PdV+VdP=TdS+VdP
1차 전의에 해당한다.
유리전이온도
Download :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hwp( 84 )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 - 대학 레포트 제출data(資料)
온도 및 압력에 따른 각 상태내 constituent 의 몰당 깁스 자유에너지 change(변화) 또한 같아야만한다.
dG= dH-d(TS) = TdS +VdP - (SdT +TdS) = VdP -SdT
만일 온도 및 압력의 change(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에 따라 두 상태가 여전히 평형을 유지하려면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571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B4%88%EB%AC%BC%EB%A6%AC%ED%95%99%5D%20%EC%9C%A0%EB%A6%AC%EC%A0%84%EC%9D%B4%EC%98%A8%EB%8F%84-5711_01.gif)
![[기초물리학] 유리전이온도-571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8%B0%EC%B4%88%EB%AC%BC%EB%A6%AC%ED%95%99%5D%20%EC%9C%A0%EB%A6%AC%EC%A0%84%EC%9D%B4%EC%98%A8%EB%8F%84-5711_02_.gif)



1constituent 물질이 서로 다른 두 가지 물리적 상태 네에서 평형으로 존재할 경우, 두 상태내
순서
1차 전이(FIRST -ORDER TRANSITION) 라고 정이한다. MELTING POINT가
1. 1차전이 : 온도에 따른 평형 압력의 change(변화)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상태 A의 부피 ( ) ≠ 상태 B의 부피 ( ) 일 때 두 상태 사이의 전이를
상태 A의 엔트로피 () ≠ 상태 B의 엔트로피 ()
다.
상태 A 와 B 사이의 온도-압력 경계선상에서 G 의 1차 미분값이 불연속적일 때 즉
constituent 물질의 몰당 깁스 자유에너지가 같아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