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기아상태가 소아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5 04:18
본문
Download : 북한의 .hwp
6개월된 영아에서 7세의 아동들은 영양상태가 전반적으로 영양실조상태에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따
2. 태아기, 영유아기의 영양 결핍이 뇌의 발달에 미치는 influence
레포트 > 의학계열
(표2).
영양 결핍이 뇌의발달에 미치는 영향 만성적 기아상태와 소아의인지 기능 영양결핍에 의한 정신손상
중등도 및 중증 발육지체(만성 영양실조 상태)는 조사된 아동들의 약 62%에서 나타났다. 또한 중등도 및 중증 저체중 상태는 아동들의 61%에서 나타났다
북한의 기아상태가 소아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순서
4) 결과
12~35개월 사이의 나이에서 영양 소모상태(급성 영양실조 상태)가 최고치의 유병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전과 후는 비교적 적은 유병률을 보인다.
조사대상이 되었던 아동들의 중등도 및 중증 영양 소모상태(급성 영양실조 상태)는 조사된 아동들의 약 16%에서 보여졌다.
① 아동들의 나이, 성별에 따른 분포는 표1과 같다(표1).
설명
3. 만성적 기아상태와 소아의 인지 기능, 정서 및 행동발달의 연관성.
대체로 여자와 남자가 동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영양 결핍이 뇌의발달에 미치는 영향 만성적 기아상태와 소아의인지 기능 영양결핍에 의한 정신손상 / (영양 결핍이 뇌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4. 북한의 기아상태에서 영양상태 改善(개선) 이 시급한 이유
I. 서론
IV. 토론
III. 연구결과
만성 영양실조와 저체중 상태를 보이고 있는 아동들이 60~70%이며 특히 만 2~3세의 아동들의 만성 영양실조 및 저체중 분포 또한 60%로 높게 나타났다(표3).
5. 영양결핍에 의한 정신, 신체적 손상을 예방 및 회복하는 방법
Download : 북한의 .hwp( 21 )
II. 연구방법
② 전체적인 영양실조의 유병률은 표2에 제시된 바와 같다.
한편, 발육지체와 저체중 상태는 4세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observation 할 수 있따 또한 여자아이들 보다는 남자아이들에서 영양실조의 유병률이 더 높은 것이 observation된다. V. 결어
③ 나이, 성별에 따른 영양실조 분포는 표3과 같다.





영양 결핍이 뇌의발달에 미치는 영향 만성적 기아상태와 소아의인지 기능 영양결핍에 의한 정신손상 / (영양 결핍이 뇌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1. 북한의 현재 소아 영양결핍 상황
다. 이 중 약 3%의 아동들은 부종(edema)상태를 보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