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3 14:04
본문
Download : 인행사-발표-다문화이론.hwp
2012년 기준 외국인 주민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이 77.5%(112만 599명),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22.5%(32만 5,032명)이다. 2006년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여 10%대를 유지하다, 2011년 9.1% 2012년 8.7%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인구(주민등록인구) 대비 이민자 비율은 2.8%(2013년 기준)로 유럽과 북미의 이민자 비율보다 낮은 편이지만(캐나다 18.9%, 독일 12.9%, 미국 12.2%, 영국 9.3%), 개발도상국의 mean or average(평균) 수준보다는 높은 편이고, 유럽‧북미에 비해 짧은 시간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1만 명 이상 외국인이 밀집해서 거주하는 지역은 총 44개 지방자치단체로 조사되었고, 제조업이 밀집한 지역에 외국인이 주로 밀집되어 있다.1. 다文化(culture) 사회
1) 다文化(culture) 가족에서 다文化(culture) 사회로
외국인과의 혼인에서 성과 국적별 구성을 보면, 전체 외국인과의 혼인 중 외국 여성과의 혼인이 72.9% 외국 남성과의 혼인이 27.1%로, 외국여성과 한국 남성의 결혼이 다수임을 알 수 있다
4) 다文化(culture) 주의
1. 다문화사회
1) 다문화의 정이
1) 동화주의
(1) 국내 체류 외국인
(2) 다文化(culture) 구조와 reality(실태)
1. 다문화사회 1) 다문화의 정의 - 다문화란 동질화된 국민국가에 소수민족, 이민자 집단, 소수문화 집단의 정체성이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Download : 인행사-발표-다문화이론.hwp( 83 )
(2) 다문화 구조와 實態
사회복지, 다문화, 사회복지사, 다문화 실태
순서
2) 복지욕구





다문화이론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china(중국) 이 77만 명으로 전체의 53.7%로 가장 많으며, 베트남(12.2%), 미국(4.8%),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남부아시아(4.8%) 순이었다. 2006년 이후에는 조금 감소하여 10%대를 유지하다, 2011년 9.1% 2012년 8.7%로 감소폭이 커지고 있다
2) 국내 다문화 實態
- 다문화란 동질화된 국민국가에 소수민족, 이민자 집단, 소수문화 집단의 정체성이 공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 다문화에 대한 논의는 시민(市民)의식, 인권주의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다원주의적 접근
3) 사회복지 정책과 서비스
우리나라의 외국인 거주자는 2013년 1월 1일 기준으로 144만 5,631명이다.
2) 차별적 포섭/배제
설명
4)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다文化(culture) 정책의 발전 방향
2. 다文化(culture) 理論
1) 다文化(culture) 의 定義(정의)
3. 사회복지 실천의 함의
- 우리나라에서는 이주노동자보다는 국제결혼가족의 통합 차원에서 다문화가 논의 되고 있다
① 결혼이민자
다. (2) 다문화 구조와 실태 ① 결혼이민자 외국인과의 혼인이 2000년에 3.5%에서 2003년에는 8.2%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2005년 13.5%로 정점에 달하였다.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77만 명으로 전체의 53.7%로 가장 많으며, 베트남(12.2%), 미국(4.8%),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남부아시아(4.8%) 순이었다.
2) 국내 다文化(culture) reality(실태)
다文化(culture) 理論
외국인과의 혼인이 2000년에 3.5%에서 2003년에는 8.2%로 2배 이상 증가하였고, 2005년 13.5%로 정점에 달하였다. 인구(주민등록인구) 대비 이민자 비율은 2.8%(2013년 기준)로 유럽과 북미의 이민자 비율보다 낮은 편이지만(캐나다 18.9%, 독일 12.9%, 미국 12.2%, 영국 9.3%), 개발도상국의 평균 수준보다는 높은 편이고, 유럽‧북미에 비해 짧은 시간에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주노동자보다는 국제결혼가족의 통합 차원에서 다문화가 논의 되고 있다. - 다문화에 대한 논의는 시민의식, 인권주의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외국인과의 혼인에서 성과 국적별 구성을 보면, 전체 외국인과의 혼인 중 외국 여성과의 혼인이 72.9% 외국 남성과의 혼인이 27.1%로, 외국여성과 한국 남성의 결혼이 다수임을 알 수 있다.
(1) 국내 체류 외국인
외국인 거주 지역은 경기도(30.5%), 서울(27.4%), 경남(6.2%), 인천(5.2%) 순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이 서울과 경기도에 밀집해 있다 1만 명 이상 외국인이 밀집해서 거주하는 지역은 총 44개 지방자치단체로 조사되었고, 제조업이 밀집한 지역에 외국인이 주로 밀집되어 있다
2012년 기준 외국인 주민 유형을 살펴보면,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이 77.5%(112만 599명),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22.5%(32만 5,032명)이다. 외국인 거주 지역은 경기도(30.5%), 서울(27.4%), 경남(6.2%), 인천(5.2%) 순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이 서울과 경기도에 밀집해 있다. 2) 국내 다문화 실태 (1) 국내 체류 외국인 우리나라의 외국인 거주자는 2013년 1월 1일 기준으로 144만 5,63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