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향리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3 07:33
본문
Download : 조선시대의 향리생활.hwp
호장층은 향리의 수장들로서 수령을 도와 지방 행정을 수행하였다. 고려 초기에는 각지방의 실질적인 지배자...





조선시대의 향리생활
2. 鄕吏의 成立과 變化
향리는 고려시대 중앙집권화에 큰 장애가 될 만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향리으 정원도 법으로 정해 놓았으나, 지방의 읍세에 따라 수가 많기도 하고 적기도 해 거의 지켜지지 않았다. 국왕을 중심으로 사족인 관(官)과 이족인 이(吏)가 중앙관서를 구성하였으며 지방관아에는 사족인 외관과 이족인 향리 그리고 재지사족이 함께 존재하면서 군현의 향촌사회를 이끌어 나갔던 것이다. 그래서 향리세계를 통솔했던 호장층은 신분이 세습되고 그들 사이에 통혼권을 현성해다. 후단사→병사·창사→주·부·군·현사→부병정·부창정→부호정→호정→병정·창정→부호장→호장이 그 단계이다.
이렇게 형성된 조선시대 향리는 상층부에 해당하는 호장층을 확보하려고 노력했다. 여기서 호장도 종류에 따라 지위와 권한이 달랐는데, 호장은 부호장→섭호장 또는 권지호장→수호장→안일호장의 순으로 승진했다.
이러한 조선시대 향리의 직제는 호장층, 6방층(기관층), 색리층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직임도 일반행정과 군사사무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향리는 이렇게 단계적인 승진절차가 명시되어 있따 하지만 가문에 따라 병사→창사로 처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무리 승진해도 주·부·군·현사에 머물게 되기도 한다. 고려 초기에는 각지방의 실질적인 지배자로 중앙government 에 대적했고, 후기에는 중앙 관료로 진출해 신진사대부층을 형성해 중앙집권화를 어렵게 했다. 그리고 색리층은 전혀 승진의 길이 없어 최하 이속에 머물렀다. 6방층은 지방관부의 6방을 담당하여 실무행정에 종사했고, 색리층은 주로 관아에서 금전, 곡물의 출납과 간수를 맡아보았다.
향리는 고려시대 중앙집권화에 큰 장애가 될 만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향리들은 그들 사이에 가장 상층부인 호장에 이르기까지 9단계를 밟아야 한다. 고려 초기에는 각지방의 실질적인 지배자... , 조선시대의 향리생활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Download : 조선시대의 향리생활.hwp( 94 )
다. 한 가문이 대대로 호장직을 역임하고, 자녀의 결혼 또한 호장직을 세습하는 명문…(투비컨티뉴드 )
설명
2. 鄕吏의 成立과 變化
레포트/법학행정
2. 鄕吏의 成立과 變化 향리는 고려시대 중앙집권화에 큰 장애가 될 만큼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향리의 세력을 억제하고 고려후기 문란해진 신분질서를 개편하기 위해 지배계층을 상·하 두 계층으로 양분화 하기 처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