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7-05 17:31
본문
Download : 전직의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hwp
설명
전직의,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전직의,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법학행정,레포트
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 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레포트/법학행정
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Download : 전직의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경우의판례.hwp( 32 )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전직의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의 판례
1. 특별한 이유 없이 사전 동의나 협의 없이 일반직으로 전직 발령한 것은 부당
근로자에 대한 전보나 전직은 원칙적으로 인사권자인 사용자의 권한에 속하므로 업무상 필요한 범위 내에서 사용자는 상당한 재량을 가지며 그것이 근로기준법 등에 위반되거나 권리남용에 해당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무효라고 할 수 없고, 전보처분 등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는 전보처분 등의 업무상의 必要性과 전보 등에 따른 근로자의 생활상의 불이익을 비교, 교량하고 근로자 측과의 협의 등 그 전보처분 등의 과정에서 신의칙상 요구되는 절차를 거쳤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대법원 1998. 12. 22. 선고 97누5435 판결 참조).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전직발령 당시 원고 회사 내에서는 기자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근무평정제도가 없었고, 피…(생략(省略))
2. 업무상의 必要性의 인정 범위




전직의 정당성이인정되지않은 경우의 판례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