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주택 계획원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4 21:49
본문
Download : 집합주택 계획원론.hwp
이 형식의 특징은 각 주호의 주거성,…(skip)
⑤코어형
2)주호 집합형식에 의한 분류
①연립형
②중정형
③클러스트형
④테라스형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집합주택 계획원론.hwp( 19 )
집합주택계획원론 , 집합주택 계획원론인문사회레포트 ,
집합주택계획원론
집합주택 계획원론
설명
순서
다. 한편 지나치게 긴 복도가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되며, 획일적 배치를 조장하기도 한다. 이 형식은 지가가 높은 고밀도가 요구되는 도심지의 재개발지구 독신자 파트에 유리하다.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 매연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시설비가 들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형이다.
③중복도형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는 형식이지만, 환기 및 채광 등이 불리하다.②편복도형
고층아파트에 흔히 이용되는 형식으로 각 주호는 2면 환기를 할 수 있으며, 균등한 주거조건을 부여받는다. 2. 주거동 계획공동주택은 독립주택과 달리 상, 하, 좌. 우로 주호가 인접해 있는 관계로 각 주호의 연결방식이나 단면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