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환경오염 상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25 23:50
본문
Download : 북한의 환경오염 현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hwp
안주지구는 1988년 현재 18억톤이 매장되어 있으며 연간 700만톤으로 북한 최대의 단일 탄광을…(To be continued )
Download : 북한의 환경오염 현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hwp( 43 )
북한의 환경오염 상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북한의환경오염현황과오염량추정에관한연구 , 북한의 환경오염 현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설명






순서
북한의환경오염상황과오염량추정에관한연구
레포트/자연과학
2. 석탄 생산량
북한은 주체사상에 의한 자립경제 원칙 하에 ‘주탄종유’ 에너지정책으로 에너지 자급을 비교적 풍부한 석탄과 수력에 의존하고 있따 특히 석탄은 에너지원 및 공업원료로써 화력 발전소, 공장, 철도, 일반가정 등 사용범위가 가장 높으며 석탄의 원활한 공급은 북한 경제발전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무연탄은 서해안의 평안남도 일대와 동해안의 함경북도 일대의 2개 지역에 주로 매장되어 있으며 90%가 평안남도 북부 탄전 일대에 있따 덕천지구, 순천지구, 개천지구 등이 중요한 탄전으로서 북한 매장량의 3분의 2를 차지한다. 개천지구에는 북한 최대의 노천 탄광인 조양탄광이 있따 유연탄은 평남의 안주지구와 함북이 대표적이며 주요탄광은 화풍, 제남, 창동 등이다.
다. . 이같은 ‘주탄종유’정책과 자급자족 에너지 정책의 결과, 1973년부터 1994년까지 북한의 에너지 지급률은 平均(평균) 90%로서 남한에 비하면 높은 에너지 자급 수준을 유지하고 있따 이와는 대조적으로 남한은 같은 기간동안 에너지 자급률은 41.4%에서 3.6.%로 계속 하락했다.
북한의 환경오염 상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
,자연과학,레포트
북한의 환경오염 현황과 오염량 추정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