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5 12:39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hwp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가령 어떤 사람이 멀쩡했을 때의 친구에게서 무기를 맡았다가, 후에 그 친구가 미친 상태로 와서 그것을 돌려주기를 요구한다면, 그런 걸 돌려주는 것이 옳은가? 그리고 또 그 친구가 그러한 상태에 있는 사람에게 진실을 죄다 말해주는 것이 …(skip)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 ,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플라톤 국가론 요약본
Download :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hwp( 20 )
설명
[사회과학] 플라톤의 국가론 요약본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1.gif)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2.gif)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3.gif)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4.gif)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5.gif)
![[사회과학]%20플라톤의%20국가론%20요약본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20%ED%94%8C%EB%9D%BC%ED%86%A4%EC%9D%98%20%EA%B5%AD%EA%B0%80%EB%A1%A0%20%EC%9A%94%EC%95%BD%EB%B3%B8_hwp_06.gif)
순서
다.사회과학,플라톤,국가론,요약본,인문사회,레포트
국가론 요약
<제 1권>
소크라테스가 케팔로스 옹에게 초대를 받음으로 해서, 논의가 처음 된다된다.
케팔로스 옹의 아들 폴레마르코스가 그 논의를 이어 받으며, 올바름이란 첫째로 정직함, 둘째로 남에게 갚을 무조건 갚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에 케팔로스 옹은 남을 속이거나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되며, 남에게 갚을 것을 제대로 갚을 수 있기 때문에 좋다고 대답한다. 이에 케팔로스 옹은 노령에 문제가 되는 것은 “생활 습관”이라고 말하는데, 이에 대해 소크라테스는 세상 사람들은 노인이 그런대로 노년을 잘 지낼 수 있는 것은 재산 때문이라고 생각할 것이 하며, 그에게 재산이 있음으로서 좋은 것은 어떤 것이냐고 묻는다. 초대를 받은 소크라테스는 그에게 노령에 지내는 것이 어떠냐는 질문을 한다. 이 말을 문제로 해서 ‘올바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