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잡 굿 뉴스] `취업 스트레스` 조사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2 21:12
본문
Download : 091029062101_.jpg
이 밖에 ‘더 나이 들면 좋은 기회를 놓칠까봐’ ‘스스로 느끼는 자괴감’ ‘취업이 안 돼 친구 모임에 당당히 나갈 수 없어서’ 등이 기타 意見으로 꼽혔다.
다. 이는 곧 취업 준비생들에게 ‘마음의 병’으로 이어지고 있다
반면에 ‘스트레스 정도가 미미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5.7%, ‘아주 미미하다’는 1.4%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운동’(13.7%)이나 ‘영화감상·TV시청’(11.9%), ‘맛있는 음식’(11.1%) 등으로 스트레스를 줄인다고 답했다.
이렇듯 마음과 몸의 병으로 이어지는 취업 스트레스를 해소할 efficacy적인 방법은 무엇일까. 물론 최적의 답은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는 것이겠지만 그에 앞서 필요한 노하우를 살펴보자.
[굿 잡 굿 뉴스] `취업 스트레스` 조사결과
취업 스트레스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음주나 흡연에 의지하던 과거와 달리 건강과 체력을 위한 생산적인 스트레스 해소법이 efficacy적이라고 생각하는 구직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취업 스트레스로 구직자들이 겪는 증상으로는 ‘자신감이 결여됐다’는 意見이 가장 많았고(22.0%) △음주 또는 흡연량 증가(19.4%) △짜증내는 빈도 증가(17.1%) △우울증(15.9%) △대인기피증(10.8%) △탈모 등 신체적 이상증세(9.5%) 등도 비중 있게 나타났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 참여한 구직자의 22.1%(108명)가 ‘운동’이 취업 스트레스 해소에 가장 탁월하다고 답했다. 반면에 특별한 증상을 겪지 않는다는 답은 4.7%에 불과했다.
레포트 > 기타
특히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로는 ‘자신을 무능력하게 볼 것 같은 주위의 시선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27.5%로 가장 많았고 △경제적인 어려움(27.0%) △취업한 주변 사람들과 비교에서 오는 좌절감(21.1%) △영원히 취업하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17.9%) △가족의 압력(5.4%) 등이 뒤를 이었다.
설명
[굿 잡 굿 뉴스] `취업 스트레스` 조사결과
[굿 잡 굿 뉴스] `취업 스트레스` 조사결과
실업난이 고질화된 지 오래다.
취업에 성공하지 못해 어깨가 처진 구직자들은 위축되거나 소극적인 태도는 버리고 땀 흘리며 ‘운동’을 하거나 ‘친구와의 만남’ ‘깊은 수면’으로 스트레스를 멀리해야 한다.
online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최근 취업을 꾀하고 있는 신입직 구직자 9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취업 스트레스 정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직자 5명 중 3명이 취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고 이로 인해 ‘우울증’ ‘대인기피증’ ‘탈모’ 등 증세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구직자들은 땀 흘리며 ‘운동’(29.4%)하는 것이 efficacy적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음주·흡연(23.7%), 깊은 수면(13.7%) 등이 뒤를 이은 반면에 여성은 ‘친구와의 만남’(25.2%)을 갖거나 ‘깊은 수면’(18.6%)을 취하는 것이 가장 efficacy적이라는 응답이 다수를 이뤘다.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는 ‘심각하다’가 41.9%로 가장 높았고 ‘아주 심각’을 꼽은 응답도 10.8%에 달해 구직자의 절반 이상이 심각한 취업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뒤 이어 △음주·흡연(16.8%) △깊은 수면(16.0%) △친구와의 만남(15.8%) 등이 비중 있게 꼽혔다.
김화수 잡코리아 사장은 “경기 불안과 치열한 취업 경쟁으로 구직자들의 어깨가 날로 무거워지고 있지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이 시기를 실력 향상의 계기로 활용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며 “이를 위해 적시에 취업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든든하게 체력을 관리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說明(설명) 했다.
Download : 091029062101_.jpg( 28 )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중 65.3%는 ‘취업이 되지 않아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답했고, 성별로는 여성(61.6%)이 남성(68.5%)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아르바이트’(1.2%)를 하거나 자기 개발을 위한 ‘독서’(3.1%) ‘자격증 취득 준비’(3.3%) 등은 취업 스트레스 해소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굿 잡 굿 뉴스] `취업 스트레스` 조사결과
순서





취업 스트레스 해소법은 남녀 간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