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고려 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 / 칼빈의 삼위일체론 유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1 14:41
본문
Download :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hwp
실제로 현대 기독론 연구는 대부분 주석적이지만, 삼위일체론이나 성령론적으로 통합되어진 연구는 흔치 않다. 칼빈(1509-1564) 신학의 구조는 한 마디로 삼위일체론적이다. 우리는 그의 신학을 공부함으로 이 삼위일체 하나님을 더욱 더 잘 알기를 원한다. 성경의 주인공도 삼위일체 하나님이시요, 설교의 주인공도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603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A%B3%A0%EB%A0%A4%EC%8B%A0%ED%95%99%EB%8C%80%ED%95%99%EC%9B%90%5D%20%EC%B9%BC%EB%B9%88%EC%9D%98%20%EC%82%BC%EC%9C%84%20%EC%9D%BC%EC%B2%B4%EB%A1%A0(%EC%9C%A0%ED%95%B4%EB%AC%B4)-6036_01.gif)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603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A%B3%A0%EB%A0%A4%EC%8B%A0%ED%95%99%EB%8C%80%ED%95%99%EC%9B%90%5D%20%EC%B9%BC%EB%B9%88%EC%9D%98%20%EC%82%BC%EC%9C%84%20%EC%9D%BC%EC%B2%B4%EB%A1%A0(%EC%9C%A0%ED%95%B4%EB%AC%B4)-6036_02_.gif)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603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A%B3%A0%EB%A0%A4%EC%8B%A0%ED%95%99%EB%8C%80%ED%95%99%EC%9B%90%5D%20%EC%B9%BC%EB%B9%88%EC%9D%98%20%EC%82%BC%EC%9C%84%20%EC%9D%BC%EC%B2%B4%EB%A1%A0(%EC%9C%A0%ED%95%B4%EB%AC%B4)-6036_03_.gif)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603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A%B3%A0%EB%A0%A4%EC%8B%A0%ED%95%99%EB%8C%80%ED%95%99%EC%9B%90%5D%20%EC%B9%BC%EB%B9%88%EC%9D%98%20%EC%82%BC%EC%9C%84%20%EC%9D%BC%EC%B2%B4%EB%A1%A0(%EC%9C%A0%ED%95%B4%EB%AC%B4)-6036_04_.gif)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6036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11/%5B%EA%B3%A0%EB%A0%A4%EC%8B%A0%ED%95%99%EB%8C%80%ED%95%99%EC%9B%90%5D%20%EC%B9%BC%EB%B9%88%EC%9D%98%20%EC%82%BC%EC%9C%84%20%EC%9D%BC%EC%B2%B4%EB%A1%A0(%EC%9C%A0%ED%95%B4%EB%AC%B4)-6036_05_.gif)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라는 표현으로 칼빈은 신앙을 定義(정이)한다. 성령 안에서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께 기도를 하루에도 몇번씩이나 드리며, 사도신경을 암송하면서도, 성도들의 머리에는 ‘단일실론’이 자리잡고 있다아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
[고려 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 / 칼빈의 삼위일체론 유해
Download : [고려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hwp( 97 )
칼빈의 삼위일체론
I. 신학 삼위 하나님을 아는 지식
다. 그에 의하면 신앙은 이곳 저곳이나 잡다한 것들에 관한 이야기를 따라 ...
칼빈의 삼위일체론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 삼위...
이런 안타까운 신앙 현실을 주목하면서 우리는 신앙의 대선배인 칼빈의 교훈을 살피려고 한다. 사실은 그가 진정한 의미에서 ‘신학자’라 할 수 있다아 신학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며, 신학의 유일한 주제는 ‘하나님’이시다.
고려 신학대학원 칼빈의 삼위 일체론유해무 / 칼빈의 삼위일체론 유해
설명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칼빈의 삼위일체론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교수) 삼위...
삼위일체론은 신학 교과서에만 있는 지식인가 비록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지만, 대부분의 신자들은 일상적인 삶에서 사실상 ‘단일신론’을 따르고 있다아 비록 매주일마다 성부, 성자, 성령께 송영을 돌려드리면서 예배를 마치지만, 설령 삼위일체론이 거짓으로 판명되어진다 하여도 기독교 경건 서적의 대부분 바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 한국교회의 모든 설교자들이 성경의 내용이 삼위 하나님이기 때문에 신학과 설교의 내용도 삼위 하나님으로 꽉 채우는 지혜를 얻기를 바라면서 본고를 처음 한다. 이처럼 삼위일체론이 창조론, 기독론, 은혜론 교리 뿐만 아니라, 성도들의 경건과는 거의 분리되어 있다아 가령 삼위일체론이 없어도 기독론에 결정적인 변화를 끼치지도 않을 것이다. 그리고 하나님은 유일하신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그의 신학의 주제는 삼위일체 하나님이시다. 이 점에서 칼빈은 신학 定義(정이)에 충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