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IT strategy의 비교론적 고찰 - 미국, Japan, 유럽을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30 13:02
본문
Download : 유비쿼터스IT전략의비.hwp
[3] The UBICOMP conference web site, http://www.ubicomp.org.
[2] M. Satya, IEEE Pervasive Computing Magazine,
[9] Mark Weiser. Hot topic: Ubiquitous Computing IEEE Computer, pages 71~72, October 1993.
http://www.itl.nist.gov/iaui.
http:www.research.microsoft.com/easyliving
[8] http://www.cooltown.hp.com/
[11] The Disappearing Computer, http://www.disappearing-computer.net/
[10] http://www.etimesi.com/
가. 미국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로젝트
유비쿼터스 IT 쿨타운 프로젝트 옥시전 / 참고문헌 [1] S.A.N. Shafer, EasyLiving, http:www.research.microsoft.com/easyliving [2] M. Satya, IEEE Pervasive Computing Magazine, http://www.computer.org/pervasive [3] The UBICOMP conference web site, http://www.ubicomp.org. [4]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http://www.pervasive2002.org. [5] The NIST series of workshops on Pervasive Computing, http://www.itl.nist.gov/iaui. [6] The journal of Pervasive and Ubiquitous Computing, http://www.personal-ubicomp. com. [7] http://cooltown.hp.com/dev/wpapers/webpres/WebPresence.asp [8] http://www.cooltown.hp.com/ [9] Mark Weiser. Hot topic: Ubiquitous Computing IEEE Computer, pages 71~72, October 1993. [10] http://www.etimesi.com/ [11] The Disappearing Computer, http://www.disappearing-computer.net/ [12] 이성국, [21세기 아젠다, u코리아 비전] 외국의 유비쿼터스 IT혁명, 전자신문, 2002. 12. 6. [13] u-네트워크연구회역, 노무라 총합연구소 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다. Apple사의 Alan Kay는 이것을 제3의 컴퓨팅 패러다임이라고 부르고 있다아 마크 와이저는 많은 사람이 한 대의 대형 컴퓨터를 공유하던 메인 프레임 시대에서, 1980년대부터 처음 된 퍼스널 컴퓨터 시대와 광역 분산 컴퓨팅을 제공하는 Internet 시대를 거쳐 개개인이 주변에 편재되어 있는 여러 컴퓨터를 사용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2005년에서 2020년 사이에 일반화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아
나. 일본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로젝트
설명
순서





Download : 유비쿼터스IT전략의비.hwp( 26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http://www.computer.org/pervasive
1. 서론 : 유비쿼터스(ubiquitous) IT의 이해
3. 각국의 戰略 비교 및 평가
http://www.pervasive2002.org.
4. 결 론
[12] 이성국, [21세기 아젠다, u코리아 비전] 외국의 유비쿼터스 IT혁명, 전자신문, 2002. 12. 6.
유비쿼터스 IT 쿨타운 프로젝트 옥시전 / 서지사항
[1] S.A.N. Shafer, EasyLiving,
[13] u-네트워크연구회역, 노무라 총합연구소 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와
2. 선진국들의 연구개발 동향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기본정의(定義) 이 오늘날에 와서는 차세대 IT 혁명의 point 동인으로서 사회, 경제적으로 커다란 變化(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아
[5] The NIST series of workshops on Pervasive Computing,
1. 서론 : 유비쿼터스(ubiquitous) IT의 이해
유비쿼터스 IT 쿨타운 프로젝트 옥시전
[6] The journal of Pervasive and Ubiquitous Computing,
[7] http://cooltown.hp.com/dev/wpapers/webpres/WebPresence.asp
유비쿼터스 IT strategy의 비교론적 고찰 - 미국, Japan, 유럽을 중심으로 -
다. 논문에서 마크 와이저는‘未來의 컴퓨터는 우리들이 컴퓨터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은 형태로 생활 속에 파고들게 되며, 하나의 방에 수백 개의 컴퓨터가 자리 잡고, 컴퓨터들이 유선 네트워크와 양방향 무선 네트워크로 상호 접속될 것으로 예견하였으며, 우리의 눈엔 보이지 않지만 분산되어 있는 수많은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람이 컴퓨터들을 의식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컴퓨팅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environment(환경) 이 도래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environment(환경) 을 ubiquitous compu- ting 혹은 calm technology로 부르면서 컴퓨팅의 제3의 물결이라고 보았다. [4]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vasive Computing,
http://www.personal-ubicomp. com.
마크 와이저와 그의 동료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가 왜 이리 사용하기도 힘들고 어려운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정의(定義) 을 정립하기 처음 했다. 유비쿼터스란 용어를 컴퓨터 분야에서 처음 사용한 사람은 미국 제록스(Xerox)사, PARC (Palo Alto Research Center)의 마크 와이저(Mark Weiser) 박사로서, 그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원전이라고 불리는 the twenty-first century를 위한 컴퓨터(The Computer for the 21st Century)라는 논문을 미국의 대표적 과학저널의 하나인‘Scientific American, 1991년 9월호에 게재했다. 유럽의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로젝트
유비쿼터스란 단어의 어원을 라틴어에서 찾아보면 언제, 어디서나, 도처에 존재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아 일반적으로 도처에 편재(偏在)해 있는 물과 공기와 같이 자연물을 말할 때 사용되고, 종교적으로는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한다는 무소부재(無所不在)를 의미할 때 사용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