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9 22:26
본문
Download : 서법-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hwp





(2) 가. 내 本來 求 업다니 오 이 寶藏이 自然히 니를어다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순서
확인법은 기본서법의 하나인 추측법과 결합할 수도 있다. (1나)는 기상대에서 발표한 정보에 근거를 둔 것이 아니고 구름의 이동이라든가 자기 자신의 어떤 느낌에 근거할 때 사용되므로 다른 경험을 접하면 자신의 믿음이 취소될 수 있다. (1가)는 화자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근거하여 현재의 상태를 확인(다짐)한다. (2가)의 ‘니를어다’에서 ‘-거-’(>-어-)가 붙은 것은 ‘니를-’이 자동사이기 때문이고, (2나)의 ‘일허다’에서 ‘-어-’가 붙은 것은 ‘잃-’이 타동사이기 때문일것이다 (가),(나)와 같이 중세국어에는 확인법이 ‘-거-/-어-’로 나타나며, 선어말어미 ‘-오-’와 결합되면 (다)와 같이 ‘-과-, (-가-)’로 교체된다. 오 얻과라 (월인석보 권7, 9장)
(1) 가. 돈도 있것다, 힘도 있것다, 무슨 걱정이오?
(법화경언해 권2,226장)
다. 확인법은 추측법의 뒤에 설 수도 있고 앞에 설 수도 있다. 따라서 독백과 같은 말투에서 많이 쓰인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이를 추측확인법이라고 부른다. 이를 추측확인법이라 한다. 이를 직설확인법이라고 한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다.
설명
6. 서지사항
문법, 서법, 중세국어, 형태론, 통사론
2. 확인법
나. 오후에는 눈이 오렷다.
서법 -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
5. 맺음말
3. 원칙법
Download : 서법- 중세국어 부차서법 위주로 -.hwp( 67 )
A+ 받은 資料입니다.
4. 감동법
(2)에서는 중세국어의 확인법을 알 수 있다. 1. 머리말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나. 王ㅅ 中엣 尊신 王이 업스시니 나라히 威神을 일허다 (월인석보 권10, 9장)
2. 확인법
(1)의 예문은 ‘있것다’에서 ‘-것-’, ‘오렷다’에서 ‘-엇-’을 통해 현대국어의 확인법을 알 수 있는 예이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확인법은 화자가 심증(心證)과 같은 주관적 믿음을 토대로 하여 자신의 지식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