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위로 가는 기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3 15:00
본문
Download :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hwp
막전위는 크게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와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로 나눌 수 있다. K+는 농도경사 때문에 세포막 안에서 밖으로 나오려 하고, Na+는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려 한다. 우리의 신체 중에서 흥분할 수 있는 조직 excitable tissue은 근육과 신경뿐이기 때문이다. 안정막 전위가 존재하는 이유는 세포 내외에 있는 이온의 배치상황이 다르기 때문일것이다 세포 내외의 이온을 비교해보면 K+의 농도는 세포 안이 밖보다 약 30배가 높다. 우리의 신체 중에서 흥분할 수 있는 조직 excitable tissue은 근육과 신경뿐이기 때문이다.
2) 안정막전위와 활동전위
신경과 근육의 활동은 세포막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때문에 가능해진다. 세포막 밖은 Na+, Cl-, HCO3- 등이 많고, 세포 안은 K+, 단백음이온 등의 농도가 높다. 대부분의 음이온들은 세포막의 투과성이 매우 낮아서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세포막 안팎의 이온농동 차이와 세포막의 선택적 막투과성으로 인해 막전위가 발생한다. 즉 세포 밖에는 Na+이 많고, K+가 적지만, 세포 내에서는 K+가 많고 Na+이 적다. 이러한 상태를 분극상태 polarization이라고 한다. Na+ 농도는 세포 밖이 세포내보다 약 10배가 높다.
자극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세포막 내외에 존재하는 전압차를 말한다. 신경세포가 안정상태에 있을 때 K+는 세포막을 비교적 쉽게 투과하나 Na+의 투과성은 K+의 1/100 수준에 불과하여 Na+은 K+에 비해 막을 투과하기 어렵다. 특히 이중에서도 막전위 membrane potential의 변화가 신경, 근육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1)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신경과 근육의 활동은 세포막의 전기생리학적 특징 때문에 가능해진다. 특히 이중에서도 막전위 membrane potential의 change(변화)가 신경, 근육 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따
Download :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hwp( 46 )
설명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1343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C%95%88%EC%A0%95%EB%A7%89%20%EC%A0%84%EC%9C%84%EC%97%90%EC%84%9C%20%ED%99%9C%EB%8F%99%EC%A0%84-1343_01.jpg)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1343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C%95%88%EC%A0%95%EB%A7%89%20%EC%A0%84%EC%9C%84%EC%97%90%EC%84%9C%20%ED%99%9C%EB%8F%99%EC%A0%84-1343_02_.jpg)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1343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C%95%88%EC%A0%95%EB%A7%89%20%EC%A0%84%EC%9C%84%EC%97%90%EC%84%9C%20%ED%99%9C%EB%8F%99%EC%A0%84-1343_03_.jpg)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1343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C%95%88%EC%A0%95%EB%A7%89%20%EC%A0%84%EC%9C%84%EC%97%90%EC%84%9C%20%ED%99%9C%EB%8F%99%EC%A0%84-1343_04_.jpg)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1343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B%B6%80%EC%83%9D%EB%A6%AC%ED%95%99%5D%20%EC%95%88%EC%A0%95%EB%A7%89%20%EC%A0%84%EC%9C%84%EC%97%90%EC%84%9C%20%ED%99%9C%EB%8F%99%EC%A0%84-1343_05_.jpg)
[해부생리학] 안정막 전위에서 활동전위로 가는 기전
해부생리학,안정막 전위, 활동전,기전
막전위는 크게 안정막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와 활동전위 action potential로 나눌 수 있따 활동전위는 신경과 근육의 세포막에서만 observe되는 현상이다.
레포트 > 의학계열
순서
1) 막전위의 발생
다. 활동전위는 신경과 근육의 세포막에서만 관찰되는 현상이다. 반면에 K+은 투과성이 매우 높아 Na+의 투과성의 약 100배에 이른다.
막전위는 세포막을 경계로 세포 안과 세포 밖의 전기적 성질을 띠고 있는 이온의 농도차이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