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나노관련 인프라 얼마나 되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7 19:30
본문
Download : 20060315-.jpg
과기혁신본부가 나눈 기능별 특화 plan에 따른 종합시설은 △실리콘계 나노소자 공정을 지원할 나노종합팹 △화합물계 나노소자 공定義(정이) 나노특화팹 △가속기 활용 나노소재 개발을 지원할 포항 나노집적센터 △나노 패터닝·에칭 장비개발을 지원할 전북 나노집적센터 △나노증착·확산 장비를 개발할 광주 나노집적센터 등이다. 장비 중복투자 등을 막기 위해서다.
이외에도 연계시설로 한국광기술원(화합물반도체 및 LED), 고등광기술연구소의 극초단광양자빔 연구시설, 포航空대의 포항방사광 가속기, KIST의 마이크로 나노공정센터, ETRI의 반도체기반 實驗실, 표준과학연구원의 진공센터 등도 서비스를 하고 있따
국내 나노관련 인프라는 KAIST의 나노종합팹센터를 비롯 수원 나노특화팹센터 등 종합시설 6개, 지원시설 5개, 연계시설 8개 등 모두 19개다.
지원시설로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나노측정分析(분석) 장비를 비롯, 산자부 주관으로 현재 대구 테크노파크에 건설중인 나노부품실용화센터, 지난해부터 서비스에 들어간 포航空대 나노평가기술산업화 지원센터 및 전자부품연구원의 나노IT부품기술산업화지원센터, KIST의 나노복합소재기술 산업화 지원센터 등이 있따
한편 과기혁신본부는 이달 내로 범부처 나노관련 인프라의 효율적인 종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연도별 장비도입 계획 등을 심의할 ‘나노기술 조정위원회’ 및 운영 관리팀을 설치한다.
설명
레포트 > 기타
나노팹 관계자는 “정부가 상반기 내에 국가연구시설 활용도 감지 시스템을 구축,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과 연계하는 관련 기반 및 제도를 대폭 정비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오는 5월까지 국내 나노팹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실무 협의체를 구성, 인프라 간 네트워킹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국내 나노관련 인프라 얼마나 되나
다.





Download : 20060315-.jpg( 98 )
국내 나노관련 인프라 얼마나 되나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
국내 나노관련 인프라 얼마나 되나
국내 나노관련 인프라 얼마나 되나
순서
14일 나노종합팹 등에 따르면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등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오던 나노종합팹과 나노특화팹, 나노기술 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앞으로 과학기술혁신본부를 중심으로 분야별로 특화돼 추진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