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중세국어] 옥화궁(玉華宮) 해석 요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4 17:28
본문
Download : 옥화궁(玉華宮) 해석 정리.hwp
그러나 외래어의 경우는 이러한 두음법칙에 예외적인 현상이 생겨났다.
③ 어두에 자음군이 올 수 없다. (예) 여자->여자
Download : 옥화궁(玉華宮) 해석 정리.hwp( 21 )
`옥화궁` 해석을 정리한 훈민정음 레포트입니다. 각 구문별로 자세하게 요점해 두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⑤ 고문(古文)에서는 흔히 볼 수 있으나 현대어에서는 합용병서된 자음(ㅄ ㅺ ㅼ 등)을 어두에 쓰지 않는다.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각 구문별로 자세하게 정리해 두었습니다.
설명
`옥화궁` 해석을 요점한 훈민정음 report입니다. 그러므로 원래 유성음이 었던 어두 자음도 국어에서는 무성음으로 나타난다. 외래어의 자음군이 조모음(調母音) ‘ㅡ`와 함 께 각각 독립된 음절을 이루게 됨은 이 때문이다 chrismas →크리스마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예) 라디오 뉴스 니그로
이 때의 ‘ㄴ`은 이 된다.
%20%ED%95%B4%EC%84%9D%20%EC%A0%95%EB%A6%AC-5182_01.gif)
%20%ED%95%B4%EC%84%9D%20%EC%A0%95%EB%A6%AC-5182_02_.gif)
%20%ED%95%B4%EC%84%9D%20%EC%A0%95%EB%A6%AC-5182_03_.gif)
%20%ED%95%B4%EC%84%9D%20%EC%A0%95%EB%A6%AC-5182_04_.gif)
%20%ED%95%B4%EC%84%9D%20%EC%A0%95%EB%A6%AC-5182_05_.gif)
옥화궁, 훈민정음과 중세국어, 고전문학
순서
[중세국어] 옥화궁(玉華宮) 해석 요점
④ 어두에 유성파열음 및 유성마찰음이 올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