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歷史회경찰론 - 우리나라에서 실시 가능한 지歷史회경찰활동 프로그램(program]) 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4 09:52
본문
Download : 지역사회경찰론 - 우리나라에서 실시.hwp
순서
지history(역사) 회 경찰활동은 범죄, 범죄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물리적 무질서 등 지history(역사) 회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려는 지history(역사) 회와 경찰의 공동노력으로서 오늘날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을 비롯한 외국의 많은 나라에서 활발하게 실시되어 오고 있다 지history(역사) 회 경찰활동의 이념은 지history(역사) 회경찰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국가나 이를 연구하는 학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나 대체로 공통적인 特性(특성)을 띠고 있다
지歷史회경찰론 - 우리나라에서 실시 가능한 지歷史회경찰활동 프로그램(program]) 에 관해서
먼저 Skolnick과 Bayley는 지history(역사) 회 경찰활동의 가장 중요한 이념으로서 지history(역사) 회에 기초를 둔 범죄예방, 문제지향적 순찰활동, 경찰의 책임증대, 명령의 분권화를 제시하고 있고, Skogan도 이와 유사하게 지history(역사) 회경찰활동의 이념으로서 분권화, 문제지향적 경찰, 지history(역사) 회에 대한 반응성 및 범죄예방을 위한 파트너십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또한 Davis 등은 지history(역사) 회경찰활동의 기본 요소로서 권한의 분권화, 경찰과 시민간의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고안된 순찰전략, 문제지향적 경찰활동의 강조, 경찰활동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전술을 개발함에 있어서 시민참여의 허용, 범죄예방호로그램의 후원을 통하여 자신의 범죄와 무질서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history(역사) 회에 대한 권한부여의 네 가지를 들고 있다
1.2 지history(역사) 회 경찰활동의 이념
지역사회경찰론,지역사회경찰활동
Download : 지역사회경찰론 - 우리나라에서 실시.hwp( 34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지歷史회 경찰활동의 槪念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다아 하지만 경찰 활동의 기본적 목표(goal)를 단순한 범죄의 사후통제에서 범죄의 예방,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감소, 서비스 기능의 강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대하고 이러한 목표(goal)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찰활동에 있어 지역주민의 참여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은 대체로 일치한다.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개념은 학자마다 차이가 있다.
다.





설명
Oliver는 지history(역사) 회경찰활동의 이념적 요소로서 경찰의 분권화, 전략지향적 경찰, 동네지향적 경찰, 문제지향적 경찰의 4가지 요소를 제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각 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지history(역사) 회경찰활동의 이념 및 特性(특성)을 종합해 보면 첫째, 경찰이 지history(역사) 회의 범죄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찰과 주민간의 협력관계의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경찰 활동의 기본적 목표를 단순한 범죄의 사후통제에서 범죄의 예방,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감소, 서비스 기능의 강화를 통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대하고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찰활동에 있어 지역주민의 참여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은 대체로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