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 文化 적 접근 / 전기체(傳記體) 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01 11:52
본문
Download :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접근.hwp
그렇...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접근 - 한국과 독일의...
Download :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문화적 접근.hwp( 71 )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文化적 접근 - 한국과 독일의...
%20%EC%86%8C%EC%84%A4%EC%9D%98%20%EB%B2%94%EB%9E%8C%EC%97%90%20%EB%8C%80%ED%95%9C%20%EC%82%AC%ED%9A%8C%EC%A0%81%C2%B7%EB%AC%B8%ED%99%94%EC%A0%81%20%EC%A0%91%EA%B7%BC-6667_01.gif)
%20%EC%86%8C%EC%84%A4%EC%9D%98%20%EB%B2%94%EB%9E%8C%EC%97%90%20%EB%8C%80%ED%95%9C%20%EC%82%AC%ED%9A%8C%EC%A0%81%C2%B7%EB%AC%B8%ED%99%94%EC%A0%81%20%EC%A0%91%EA%B7%BC-6667_02_.gif)
%20%EC%86%8C%EC%84%A4%EC%9D%98%20%EB%B2%94%EB%9E%8C%EC%97%90%20%EB%8C%80%ED%95%9C%20%EC%82%AC%ED%9A%8C%EC%A0%81%C2%B7%EB%AC%B8%ED%99%94%EC%A0%81%20%EC%A0%91%EA%B7%BC-6667_03_.gif)
%20%EC%86%8C%EC%84%A4%EC%9D%98%20%EB%B2%94%EB%9E%8C%EC%97%90%20%EB%8C%80%ED%95%9C%20%EC%82%AC%ED%9A%8C%EC%A0%81%C2%B7%EB%AC%B8%ED%99%94%EC%A0%81%20%EC%A0%91%EA%B7%BC-6667_04_.gif)
%20%EC%86%8C%EC%84%A4%EC%9D%98%20%EB%B2%94%EB%9E%8C%EC%97%90%20%EB%8C%80%ED%95%9C%20%EC%82%AC%ED%9A%8C%EC%A0%81%C2%B7%EB%AC%B8%ED%99%94%EC%A0%81%20%EC%A0%91%EA%B7%BC-6667_05_.gif)
인문사회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 문화 적 접근 / 전기체傳記體 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소설 동의보감 의 경우 출간 4년 뒤인 1994년에 이미 66쇄를 찍었고, 소설 토정비결 은 불과 1년만에 86쇄를 넘었으며, 매월당 김시습 은 1년만에 28쇄, 원균 은 출간 한 달 넘짓한 시간에 5쇄를 발행했다.
[인문사회]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 文化 적 접근 / 전기체(傳記體) 소
순서
설명
전기체(傳記體) 소설의 범람에 대한 사회적·文化(문화)적 접근 - 한국과 독일의 경우를 비교·고찰함1) 장 희 권 (부산대) I. 들어가는 말 한국 사회에서는 지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도 중반기로 이어지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에 엄청난 물량의 전기체 소설들이 쓰여졌다. 그 중에 특히 소설 동의보감 이나 소설 토정비결 , 매월당 김시습 ,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등은 발간 즉시 단 시일 내에 베스트셀러 목록에 올라 엄청난 양의 판매 부수를 기록하였다. 그런데 전기체 소설이 누렸던 대단한 인기는 말 그대로 한 때의 유행이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것은 김진명의 무궁화 꽃... 이 출간 9개월만에 무려 3백만 부가 팔렸다는 경이로운 기록이다. 허준의 일대기를 다룬 이은성의 소설 동의보감 (1990), 강영수의 소설 을지문덕 (1990), 토정 이지함을 다룬 이재운의 소설 토정비결 (1992), 이문구의 매월당 김시습 (1992), 황인경의 소설 목민심서 (1992), 강무학의 광개토대왕 (1993), 각각 핵물리학자 이휘소를 내세운 공석하의 소설 이휘소 (1993)와 김진명의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1993), 고정욱의 원균 그리고 원균 (1994) 등 전기의 형식을 빈 소설들이 이 시기에 이루 다 헤아리기조차 힘들 정도로 출판계에 (말 그대로) 마구 쏟아져 나왔다. 전기의 형식을 빈 소설들은 현재도 꾸준히 쓰여지고 있지만, 한국문학사에서 불과 5년 정도 밖에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내에 전기체 소설들이 이처럼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던 적은 없었고, 앞으로도 좀처럼 다시 재현되기 쉽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