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존 (Ozon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9 09:07
본문
Download : 오 존 (Ozone).hwp
I. 서론 - 오존의 현재
1980년대 이후 남극을 비롯하여 전지구적으로 오존층 감소가 관측되었고(Chubachi, 1984; Farman et al., 1985), 그 주된 요인이 인공 화학 물질인 염화불화탄소(CFCs) 등의 화학적 과정에 의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예; Solomon, 1999). 그리고 1990년대 중반 이후 북반구 중위도에서 오존 전량의 감소 경향이 둔화되거나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WMO, 1999). 이러한 증가 현상에 대하여 Steahelin et al. (2001)은 1987년 채택된 몬트리얼 의정서와 후속된 규제들의 성공적인 이행으로 오존 파괴 물질의 배출이 감소되었고, 더욱이 1991년 발생한 피나투보 화산 폭발 이후 수년이 지나면서 성층권에 잔류하는 에어러솔이 감소하여 오존의 증가 현상이 발생한다고 說明(설명) 하였다. 최근에는 북반구 중위도의 상부 성층권에서 1996년 이후 오존량의 증가 경향이 나타났으며, 이는 화학적 요인과 함께 성층권 기온의 change(변화)에…(skip)
1. 오존 구멍
Download : 오 존 (Ozone).hwp( 80 )
순서
오 존 (Ozone)에 대한 자료입니다. 오존발표 , 오 존 (Ozone)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오존발표
오 존 (Ozone)에 대한 자료(data)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오 존 (Ozone)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다. 그러나 오존파괴 물질의 배출이 감소한다 하더라도 성층권에 잔류하는 오존 파괴 물질의 양은 현재도 증가하고 있으므로(WMO/UNEP, 2002), 화학 과정만으로 최근 북반구 오존 전량의 증가 현상을 說明(설명) 하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