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는 왜 대학에 가야만 할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3 03:56
본문
Download : 한국에서는 왜 대학에 가야만 할까.hwp
학생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부모님들께서도 상위권 대학이 좋은 삶을 보장한다고 믿고 있따 이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간자본theory(이론)을 믿고 있는 것이다. 기업체 등에서 사원을 뽑을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이 대학졸업장이라고 한다.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문제들이 얽히고 설켜있따 무엇보다도 근본적인 요인은 한국에서 학력이 가져오는 사회 경제적 불평등이 지나치게 큰데서 찾을 수 잇을 것이고 이로 인한 교육수준의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있을 것이다. 즉 교육이 높은 생산성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고 교육이 높은 소득수준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따 또한 선진국이랑 비교를 하였을 때 밑의 그래프를 보듯이 한국이 대학 진학률이 제일 높다. 그와 함께 소위 스팩이라고 불리는 것들도 추가로 보긴 하지만 역시 가장 중요한건 대학 졸업장이다.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서도 매우 높은편이다. 같은 시기에 우리나라의 문맹률은 29% 아르헨티나는 9%였다. 대부분의 기업이 대학졸업장이 없으면 들어가기가 매우 어렵다. 고학력→ 고생산성→ 고소득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그와 함께 소위 스팩이라고 불리는 것들도 추가로 보긴 하지만 역시 가장 중요한건 대학 졸업장이다. 세계 1위의 소득수준을 자랑하는 노르웨이도 학생들의 2007년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평가의 수학 과목에서 리투아니아, 체코 공화국 등의 후진국들 보다 그 성적이 낫은 결과가 나왔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요인인 사회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를 보면 선진국과 한국의 대학진학률 차이를 알 수 있따 낙수효과 등으로 현 정부는 재벌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 있지만 이정우 교수님 칼럼에서 지적했듯이 오히려 가진 자의 배만 부르게 하였지 사회 분배적으로 효과는 거의 없다. (불평등의 경제학 참고) 다양한 교육에 대한 theory(이론)들도 있지만 확실히 교육과 소득과의 관계를 확실하게 설명해주는 theory(이론)은 없다.
지금 고3들의 goal(목표) 는 대학진학이다. 그럼에도 타이완은 기록적인 성장률을 보인 반면에 필리핀은 그다지 높은 성장을 하지 못하였다. 즉 교육이 높은 생산성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고 교육이 높은 소득수준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따 위의 reference(자료)들을 참고하였을 때 왜 한국에서는 대학에 가야한 하는 것일까?
다.
Download : 한국에서는 왜 대학에 가야만 할까.hwp( 99 )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매우 높다.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여서도 매우 높은편이다. 대학에 진학하고자하는 사람이 너무 많고 사회 풍토가 대학에 진학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면에서 불리한 면이 있어서 대학진학률은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다. 또한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노블리스 오블리제 등 재벌들의 사회적 책임의식이 적고 경제 사회적 분배 제대로 되지 않고 있으며, 복지정책도 복지포퓰리즘에 맞게 명확한 계획, 필요재정수준과 재정확보방법 등을 구체화 하지 않고 내놓고 있따
한국에서는 왜 대학에 가야만 할까
한국에서는 왜 대학에 가야만 할까,대학,대학필요성
우리나라의 대학 진학률은 매우 높다. 대학에 진학하고자하는 사람이 너무 많고 사회 풍토가 대학에 진학하지 않으면 여러 가지 면에서 불리한 면이 있어서 대학진학률은 점점 높아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는 아르헨티나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따 아프리카를 보더라도 아프리카는 매년 교육수준이 늘고 있지만 1인당 소득은 오히려 줄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기업이 대학졸업장이 없으면 들어가기가 매우 어렵다. 하지만 이 theory(이론)에는 사회적 문제 개인 간의 능력차이 문제 노동의 공급 측면만을 중시한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많이 제기되었다. 또한 reference(자료)를 보면 1960년대 타이완의 문맹률은 46%, 필리핀의 문맹률은 28%에 지나지 않았다. 기업체 등에서 사원을 뽑을 때 가장 먼저 보는 것이 대학졸업장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