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kr 인식론에 관하여 > tistory2 | tistory.kr report

인식론에 관하여 > tistory2

본문 바로가기

tistory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인식론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20 07:03

본문




Download : 인식론.hwp




1. 개요
4. 합리주의적 방향
6. 개념(槪念)적 사유

2. 인식론의 역할과 다른 분야와의 연관
고대 그리스의 초기 철학자들의 관심은 자연세계의 본질에 관한 것이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과는 달리 감각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아 그는 감각적 지각 없이는 배움도 이해도 있을 수 없다고 했다.
중세
순서


고대 그리스와 중세의 경험주의
Greek SkepticismA Study in Epistemology : Charlotte L. Stough, 1969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Greek and Early Medieval Philosophy : A. H. Armstrong (ed.), 1967
3. 현대인식론의 쟁점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인식론 : D. W. 햄린, 이병욱 역, 서광사, 1986




5. 경험주의로의 방향
인식론 : W. V. 라인 외, 정대현 역, 종로서적출판, 1984

인식론 사회 이론 / 인식론 : J. 헤센, 이강조 역, 서광사, 1987 인식론 : D. W. 햄린, 이병욱 역, 서광사, 1986 인식론 : W. V. 라인 외, 정대현 역, 종로서적출판, 1984 고대 국가론(플라톤전집 1) : 플라톤, 최민홍 역, 성창출판사, 1986 파이돈(플라톤전집 6) : 플라톤, 최민홍 역, 성창출판사, 1986 The Skeptical Tradition : Miles Burnyeat (ed.), 1983 Greek SkepticismA Study in Epistemology : Charlotte L. Stough, 1969 중세 토미스트인식론 - 토미스트 실재론과 인식비판 : E. 질송, 이재룡 역, 서광사, 1993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Medieval PhilosophyFrom the Rediscovery of Aristotle to the Disintegration of Scholasticism, 1100-1600 : Norman Kretzmann·Anthony Kenny·Jan Pinborg (eds.), 1982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Greek and Early Medieval Philosophy : A. H. Armstrong (ed.), 1967 근세 인성론 : D. 흄, 이준호 역, 서광사, 1994 방법서설 : R. 데카르트, 권오석 역, 홍신문화사, 1989 인간지성론 (세계사상대전집 22) : J. 로크 외, 이용순 역, 대양서적, 1980 A Treatise Concerning the

토미스트인식론 - 토미스트 실재론과 인식비판 : E. 질송, 이재룡 역, 서광사, 1993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간지성론 (세계사상대전집 22) : J. 로크 외, 이용순 역, 대양서적, 1980


The Cambridge History of Later Medieval PhilosophyFrom the Rediscovery of Aristotle to the Disintegration of Scholasticism, 1100-1600 : Norman Kretzmann·Anthony Kenny·Jan Pinborg (eds.), 1982

7. Reference List 경험주의로의 방향
인성론 : D. 흄, 이준호 역, 서광사, 1994




인식론에 관하여
인식론 사회 이론(理論) / 인식론 : J. 헤센, 이강조 역, 서광사, 1987
고대


The Skeptical Tradition : Miles Burnyeat (ed.), 1983
인식론 사회 이론


국가론(플라톤전집 1) : 플라톤, 최민홍 역, 성창출판사, 1986



Download : 인식론.hwp( 60 )


근세


A Treatise Concerning the
설명
다. 다른 경험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세계에 관한 사유는 감각이 제공하는 증거에 준해서 참·거짓의 여부가 밝혀져야 한다는 분명한 태도를 지녔다.
파이돈(플라톤전집 6) : 플라톤, 최민홍 역, 성창출판사, 1986

방법서설 : R. 데카르트, 권오석 역, 홍신문화사, 1989
인간의 감각적 지각을 다룬 가장 중요한 고대 철학 작품은 의심할 바 없이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이다. 이 대화편에서 플라톤은 감각이 곧 지식이다, 올바른 판단이 지식이다, 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이성이 지식이다라는 가정을 검토하면서 이들 모두를 부정하고 있다아 수학자 테아이테토스는 감각이 곧 지식이라고 주장했다. 원자론을 처음 시도한 로이키포스는 파르메니데스의 일원론에 반(反)하여 복수원자론을 내세웠으며, 실재를 이루는 입자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고 주장했다. 도대체 무엇이 존재하는지, 존재의 기본단위는 무엇인지 알고자 했으며, 그것이 물이나 공기, 불이 아닐까 생각했다. 복수원자론은 최고의 자연철학자 데모크리토스가 지지한 理論(이론)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가장 중요한 경험주의는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에 의해 전개되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러한 일반화가 자연세계에 적용되는 한, 또한 언제나 감각 경험에 의해 시험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찰자에게 드러나는 그대로가 사물이라는 생각은 프로타고라스를 비롯한 소피스트들의 것이며 소크라테스도 이에 동정적이었다. 감각적 지각에서 취할 수 있는 최상의 것은 감각적 지각이 합리적으로 논쟁할 수 있는 일반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들의 탐구방법은 관찰과 관찰된 것에 대한 사변이었기 때문에 때로 이들은 경험주의자라고도 불린다. 왜냐하면 자연에 관하여 추론해낼 아무것도 없을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감각이 제공한다고 하는 지식은 단순한 감각과 인지적 파악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흰색 대상을 디아레스의 아들로 파악하는 것과 같은 복합적인 지각을 가리킨다.
Total 17,597건 812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antone.tistory.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antone.tistory.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