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story.kr 비잔틴 제국 (Byzantine Empire). > tistory2 | tistory.kr report

비잔틴 제국 (Byzantine Empire). > tistory2

본문 바로가기

tistory2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비잔틴 제국 (Byzantine Empi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10 19:25

본문




Download : ByzantineE.hwp




그 대신 비잔틴은 동북부의 최변경인 중앙아시아의 유목민과 직접 맞서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서양중세사 : B. 타이어니·S. 페인터 공저, 이연규 역, 집문당, 1989

3. 성상파괴운동
비잔틴 제국 (Byzantine Empire).

A History of Byzantine Civilization : H.W. Haussig, 1971


Download : ByzantineE.hwp( 94 )





비잔틴 비잔틴제국 Byzantine 동로마 서로마 / 비잔티움 : 필립 셰러드, 한국일보타임라이프북스 편집부 역,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92

2. 동로마 제국에서 비잔틴 제국으로
비잔틴 제국(1025)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


4. 마케도니아 왕조와 비잔틴의 최전성기
5. 비잔틴의 쇠퇴

The Byzantine World, 4th ed. : J.M. Hussey, 1970
설명
7. 참고한 문헌 마케도니아 왕조와 비잔틴의 최전성기(867~1025)
Byzantium:An Introduction, 2nd rev. ed. : Philip Whitting (ed.), 1981
Byzantium:An Introduction to East Roman Civilization : Norman H. Baynes·H. St. L. B. Moss (eds.), 1948(reissued 1969)



People and Power in Byzantium:An Introdution to Modern Byzantine Studies : Alexander Kazhdan, Giles Constable, 1982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2nd ed. : George Ostrogorsky, 1968
Byzantine Studies and Other Essays : Norman H. Baynes, 1955(reprinted 1974)




비잔틴 비잔틴제국 Byzantine 동로마 서로마

2세기에 걸친 마케도니아 왕조 치세에 제국은 군사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했다. 975년 비잔틴은 안티오크와 동방 남부의 상당부분을 빼앗았다. 사실 수도원이나 지방 귀족의 대영지의 성장은 중소농의 희생을 가져왔고 이것은 징집에 큰 위협이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새로운 영토 획득을 위한 전쟁을 치러야만 했다. 제국 전역에 걸쳐 군관구제(軍官區制)가 실시되었고 군대와 민간 사이의 관계는 원활했으며 동방의 속주에서는 산업·상업이 크게 발달했다. 이는 슬라브인들의 文化(culture) 발달에 커다란 influence을 준 대 history(역사) 적 사건이었다. 도시 내에서도 역시 길드 조직이 발달했고 무역로로 비단길을 확보했다. 마케도니아 시대에 슬라브인과 러시아인들은 그리스 정교회로 개종했으며 비잔틴 교회는 이들에게 뒷날 슬라브인의 문자가 되는 키릴 문자(원래는 글라골 문자라고 불렀음)를 고안해주어 성서 해독, 연도(連禱), 교회관행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동·서 양면의 군사적 부담을 지는 것은 또다시 과중한 국세와 중·소농의 징집 부담이 커짐을 뜻했다. 불가리아인과 러시아인은 개종 이후 처음에는 비잔틴에 대등한 외교관계를 요구했으나 불가리아의 군주 시메온 이후부터는 차츰 평화적 관계로 회복되었다. 입법적으로도 법률체계를 집대성·발표했으며 법률의 절차를 간소화했다. 그사이 비잔틴은 소아시아에서 아랍인을 밀어내고 소아시아·시리아·성지 예루살렘 재탈환에 몰두했다.


6. 팔라이올로구스 왕조와 제국의 몰락

비잔틴 비잔틴제국 Byzantine 동로마 서로마 / 비잔티움 : 필립 셰러드, 한국일보타임라이프북스 편집부 역, 한국일보타임라이프, 1992 서양중세사 : B. 타이어니·S. 페인터 공저, 이연규 역, 집문당, 1989 People and Power in Byzantium:An Introdution to Modern Byzantine Studies : Alexander Kazhdan, Giles Constable, 1982 Byzantium:An Introduction, 2nd rev. ed. : Philip Whitting (ed.), 1981 A History of Byzantine Civilization : H.W. Haussig, 1971 The Byzantine World, 4th ed. : J.M. Hussey, 1970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2nd ed. : George Ostrogorsky, 1968 Byzantine Civilization : Steven Runciman, Methuen, 1961 Byzantine Studies and Other Essays : Norman H. Baynes, 1955(reprinted 1974) Byzantium:An Introduction to East Roman Civilization : Norman H. Baynes·H. St. L. B. Moss (eds.), 1948(reissued 1969) ()

1. 로마적 그리스도교적 배경
Byzantine Civilization : Steven Runciman, Methuen, 1961
다. 그러나 시칠리아와 남부 이탈리아는 여전히 이슬람의 세력하에 묶여 있었다. 그러나 물질적 번영과 함께 전쟁 계획도 끊임없이 진전되었다. 이슬람 세력을 견제한 후 비잔틴은 이 권위를 장차 서유럽과 이탈리아의 재탈환에 이용하려 했으나 그당시 독일에서 출현한 신성 로마 제국의 팽창정책은 새로운 경쟁을 불러일으켰고 양자의 충돌은 동·서 관계를 더욱 미묘하게 만들었다.
Total 17,597건 841 페이지

검색

REPORT 11(sv76)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wantone.tistory.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wantone.tistory.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