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4장까지 등장하는 12명의 철학자 중 시대 구분 없이 2인을 선정하여 두 철학자의 철학과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6 09:08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hwp
다양한 문헌과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불교나 도교와 같은 다른 사상은 말할 것도 없고 같은 성리학이라 하더라도 심학이라 불리는 양명학이라든지 서화담 계통의 기일원론, 나정암의 주기설 및 오초려의 주륙 절충적 견해 등을 배척한다.
다양한 문헌과 reference(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2. 율곡 이이의 철학과 사상
설명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230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10/%5B%EB%8F%99%EC%96%91%EC%B2%A0%ED%95%99%EC%82%B0%EC%B1%85%20%EA%B3%B5%ED%86%B5%5D%201.%20%EC%A0%9C2%EC%9E%A5~1-2302_01.jpg)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230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10/%5B%EB%8F%99%EC%96%91%EC%B2%A0%ED%95%99%EC%82%B0%EC%B1%85%20%EA%B3%B5%ED%86%B5%5D%201.%20%EC%A0%9C2%EC%9E%A5~1-2302_02_.jpg)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230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10/%5B%EB%8F%99%EC%96%91%EC%B2%A0%ED%95%99%EC%82%B0%EC%B1%85%20%EA%B3%B5%ED%86%B5%5D%201.%20%EC%A0%9C2%EC%9E%A5~1-2302_03_.jpg)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2302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10/%5B%EB%8F%99%EC%96%91%EC%B2%A0%ED%95%99%EC%82%B0%EC%B1%85%20%EA%B3%B5%ED%86%B5%5D%201.%20%EC%A0%9C2%EC%9E%A5~1-2302_04_.jpg)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2302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2110/%5B%EB%8F%99%EC%96%91%EC%B2%A0%ED%95%99%EC%82%B0%EC%B1%85%20%EA%B3%B5%ED%86%B5%5D%201.%20%EC%A0%9C2%EC%9E%A5~1-2302_05_.jpg)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3학년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4장까지 등장하는 12명의 철학자 중 시대 구분 없이 2인을 선정하여 두 철학자의 철학과 사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자기 글로 정리(整理) 하시오.
에 대한 방통대 과제課題입니다. 결국 퇴계는 정주의 이기이원론만을 인정한다.
퇴계는 마음을 이기론적으로 해석하여 사단(四端)은 이의 발이고 칠정(七情)은 기의 발이라고 했다. 그리하여 정주 계통의 성리학설을 기본 입장으로 하여 퇴계는 이와 다른 theory(이론)이나 학설을 배척한다.
다. 사단(사端)이란 맹자가 말한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是非)의 4가지 마음을 가리킨다. 퇴계는 이 사단에 의해서 바로 인의예지가 드러난다고 한다.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4장까지 등장하는 12명의 철학자 중 시대 구분 없이 2인을 선정하여 두 철학자의 철학과 사상의 유~
Ⅰ.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철학과 사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1. 퇴계 이황의 철학과 사상
12명의 철학자, 철학과 사상, 유사점과 차이점, 유용하게쓰일수있는점,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동양철학산책, 중어중문학과, 방통대
3. 유사점과 차이점
1) 이기론퇴계의 사상은 정자, 주자의 입장을 바탕에 둔 정주학의 토대 위에서 세워졌다.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이 인위예지(仁義禮智)는 인간의 본질적인 characteristic(특성), 곧 본성이다.
순서
Ⅰ.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 철학과 사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목 차>
- 교육적인 측면
좋은 점수 받으시길 바랍니다.
Download :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hwp( 95 )
<참고한 문헌 >
Ⅱ. 율곡 이이 사상에서 우리의 삶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점
1. 퇴계 이황의 철학과 사상
2. 1번 문제에서 거론한 철학자(한 명을 다루거나, 두 명 모두를 다루어도 됨)의 사상에서 오늘날 우리의 삶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점들을 찾아보고 자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심성론(인성론)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3학년 동양철학산책 공통] 1. 제2장~14장까지 등장하는 12명의 철학자 중 시대 구분 없이 2인을 선정하여 두 철학자의 철학과 사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구분하여 자기 글로 정리하시오. 2. 1번 문제에서 거론한 철학자(한 명을 다루거나, 두 명 모두를 다루어도 됨)의 사상에서 오늘날 우리의 삶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점들을 찾아보고 자신이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서술하시오. 에 대한 방통대 과제입니다. 퇴계는 양명학의 심즉리설과 지행합일설을 거경궁리론과 지행병진설로 조목 조목 반박하고 화담의 기일원론을 이기이원론으로 반박한다. 그 중에서도 양명학과 화담계의 기일원론에 대한 배척이 가장 강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