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에 관한 연구 - KQML 언어의 의미론을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04:00
본문
Download :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에 관한 연구 - KQML 언어의 의미론을 중심으로 -.hwp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에 관한 연구 - KQML 언어의 의미론을 중심으로 -.hwp( 51 )
1. 들어가며
2. 에이전트간 의사소통 언어로서의 KQML
2.1. 화행 theory (speech act theory)과 KQML
2.2. KQML 메시지와 Performatives
3. KQML performative의 의미론적 기술
3.1. 의의
3.2. KQML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
3.3. KQML performative에 대한 의미론적 틀
4. 구현 예: Marketplace Application의 의사소통 모델 analysis
4.1. Marketplace application Architecture
4.2. Marketplace application의 의사소통 모델
4.3. 改善(개선) 점
4.4. 개정된 Marketplace application의 의사소통 모델
5. 結論(결론)
reference
2. 에이전트간 의사소통 언어로서의 KQML
2.1. 화행 theory (speech act theory)과 KQML
Labrou와 Finin는 에이전트간의 의사소통 언어를, 교환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태도(attitude)를 전달하는 매개물로 본다[5]. 따라서 그러한 의사소통의 내용은 단정(assertion), 요구(request), 질의(query) 등이 되어야 한다.…(투비컨티뉴드 )
지능형에이전트의의사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에 관한 연구 - KQML 언어의 의미론을 중심으로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지능형에이전트의의사 , 지능형 에이전트의 의사소통 모델에 관한 연구 - KQML 언어의 의미론을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
지능형 에이전트 모델에 마주향하여 說明(설명) 했습니다. 또한 그때의 발화를 Austin의 이분법적 구분에 따르면 performatives(수행[遂行]발화), 즉 행하는(doing something) 발화라고 한다[1].
KQML 언어는 다중 에이전트간의 의사소통 행위를 이러한 화행 theory 에 기반하여 형식화한다. KQML의 기본 어휘를 performatives라고 한다.
지능형 에이전트 모델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performative는 1)서로 교환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태도를 표현하며, 2)에이전트로 하여금 그러한 태도를 다른 에이전트에게 전달함으로써, 3)자신의 요청을 처리(process)하기에 적합한 다른 에이전트를 찾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는 발화(utterance, 또는 speech) 자체가 어떤 행위가 되는 경우로서, 언어학이나 언어철학의 화용론에서는 이를 화행(speech act)라고 한다.
2.2. KQML 메시지와 Performatives
앞서 서술했듯이, KQML은 에이전트간에 교환되는 실제의 언어표현 자체가 아니라, 단지 그에 관한 태도를 표현하는 기본 어휘들(또는 메시지 유형)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KQML은 메시지의 유형을 정이하며 의사소통 행위의 논리적 측면을 나타내는, performative와 그 매개변수로 이루어진 메시지 층(layer)와, 실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다양한 언어와 ontology를 기반으로 담고 있는 내용 층이 구별되어 있다
KQML 메시지는 아래와 같이, 하나의 performative와 그 매개변수 및 그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Common Lisp과 유사한 형태의 ASCII 문자로 표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