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의연구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1-24 21:48
본문
Download : 쌀의연구조사.hwp
먼저 rice endosperm에서 생화학적으로 β-carotene의 형성이 어느정도까지 일어날 수 있는지 알아본 결과 첫 번째 C40 carotenoid compound인 phytoene이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그것의 precursor인 GGPP(geranylgeranyl diphosphate)의 형성이 observation되었다. carotenoid의 합성 경로를 살펴보면 IPP(isoprenoid diphosphate)가 GGPP(geranylgeranyl diphosphate)로 변하고, GGPP는 tocopherol, quinone, gibberellic acid와 chlorophyll의 phytol side chain의 합성에 대한 substrate로도 쓰인다.
쌀의연구조사
벼에서의 carotenoid 생성은 recombinant daffodil(Narcissus pseudonarcissus) phytoene synthase cDNA를 사용한 형질전환 實驗(실험)이 최초였다. GGPP가 PYS에 의해서 Phytoene으로, PDS에 의해서 ζ-carotene으로, ZDS에 의해서 Lycopene으로, LYC에의해 β-carotene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phytoene은 plastid stroma에서 합성되나 , 그 이후의 합성과정은 plastid membrane에서 합성된다고 한다. 이것으로 벼의 endosperm에서는 phytoene synthase가 발현되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쌀의 endosperm에 존재하는 plastid는 amyloplast이고, daffodil phytoene synthase또한 chro…(생략(省略))
쌀의연구조사
순서
설명
쌀의연구조사 , 쌀의연구조사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Download : 쌀의연구조사.hwp( 98 )






,공학기술,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