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29 04:09
본문
Download :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hwp
설명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13_중세문화의_발달과_근세_사회로의_전환 ,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hwp( 84 )
제1절 고려시대의 학문
1. 도교와 풍수지리 사상의 유행
(1) 도교의 발달
① 전래
㉠ 삼국시대에 전래㉡ 고려시대에 성행하였지만 불교와 유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함
② 포용사상 : 민간신앙, 신선술, 도가, 음향오행 理論 첨가
③ 교리 : 불로장생 사상과 현실 이익 추구
④ 특징
㉠ 하늘의 별들과 사낭신, 토지신 등 많은 잡다한 신을 모시면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며,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기원함 = 초제 의식 을 행함㉡ 국가적인 도교 행사가 자주 베풀어짐
㉢ 예종때 도교 사요인 도관(=복원관)을 처음 건립
⑤ 성격
㉠ 잡신적 종교으로 불교적 요소가 강하며 도참신앙, 예언사상까지 수용㉡ 유·불과는 달리 일관성이 결여된 면이 있었음
⑥ 한계 : 교단이 조직되지 못한 비조직적 신앙으로써 민간신앙으로 퍼지지 못함
【보충학습】도교 발달 과정㉠ 고구려 : 강서고분 사신도
㉡ 백 제 : 산수무늬 벽돌,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금동 용봉 봉래산 …(skip)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
중세 문화의 발달과 근세 사회로의 전환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3_중세문화의_발달과_근세_사회로의_전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