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수리학 experiment(실험) - 오리피스 experimen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05 20:36
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수리학 실험 - 오리피스 실험.hwp
5.그래프에 수위 및 거리곡선을 작성한다. 오차의 원인(原因)으로는 첫 번째 물줄기의 높이를 측정(measurement)하는데 물이 투명했기 때문에 막대기를 내려서 뿜어 나오는 물줄기의 가운데를 꽂을 때 정확히 가운데를 맞춰 찌를 수 없었다. 그러므로 실제유수 단면적은 오리피스 단면적보다 작은데 이를 보정해 주는 것을 수축계수 라 하고 다음 식과 같…(To be continued )
2)
3)오리피스의 중심축에 기준 수평면을 잡고 베르누이의 정리(整理) 를 적용하면,
이다.
2)test(실험) 전에 h가 낮을수록 y변위가 클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역시 예상한 결과가 나왔다.
접근 유속을 무시하고, 대기압을 적용하면 출구에서의 유속은오리피스를 통한 실제의 흐름은 위의 그림 과 같이 에너지 손실이 있으므로 수축 단면에서의 유속 는 theory(이론) 적인 유속 보다 실제로 작으며 이는 피토관으로 측정(measurement)되는 전수두로부터 계산될 수 있따 오리피스에서 수압관의 정압수두 와 동압수두 hH의 비에 대한 제곱근 즉, theory(이론)유속에 대한 실제유속의 비인 유속계수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막대기를 처음 분출하는 지점부터 찌르면 물줄기가 흐트러져 결과값이 이상하게 나올 수 있음으로 끝에서부터 순서순서 물줄기의 가운데를 맞춰 막대기를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했다.
2.test(실험) 의 theory(이론)
1)Bernoulli 방정식을 적용하여 출구에서의 유속을 구함으로써 유량을 산정한다. 두번째 수조의 물이 일정해야하는데 흔들리면서 조금씩의 차이가 났을 것 같다.
7. 물을 받을 때부터 시간측정(measurement)을 맞추기 어렵다.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는 수맥은 오리피스의 지름보다 작아지며, 오리피스 지름의 1/2 되는 점에서 흐름이즉, 유선이 안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를 수축 단면 이라고 한다. 세 가지의 지름이 다른 것들을 끼우면서 처음 낙하할 때는 비슷하지만 끝부분은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est(실험)
을 통하여 수위의 높이에 따라 속도계수 유량계수 유량이 변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큰 차이는 없는 것 같았다.
실험과제/기타
자연과학,수리학,실험,오리피스,실험,기타,실험과제
[자연과학] 수리학 실험 - 오리피스 실험 , [자연과학] 수리학 실험 - 오리피스 실험기타실험과제 , 자연과학 수리학 실험 오리피스 실험
오리피스 test(실험)
1.test(실험) 의 목적
오리피스를 이용한 test(실험) 은 유량측정(measurement) 방법의 하나로서 베르누이 정리(整理) 를 적용시킨 theory(이론) 유량과 test(실험) 에서 나온 실제유량을 비교해 보면서 유량계수의 change(변화)를 관찰하고 mean or average(평균) 유량계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설명
Download : [자연과학] 수리학 실험 - 오리피스 실험.hwp( 22 )
[자연과학] 수리학 experiment(실험) - 오리피스 experiment(실험)
순서
[자연과학] 수리학 experiment(실험) - 오리피스 experiment(실험)
다. 물줄기가 갈라지고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하려면 test(실험) 을 여러 번하여 오차를 줄여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