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 학습 지도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30 17:12
본문
Download : 수학과 학습 지도안.hwp
그러나 이 때의 분수 기호는 오늘날의 분수 기호와 같지 않다. 실제 고대의 기록에도 그러한 흔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고대 이집트에서는 단위분수가 사용되었고, 바빌로니아에서는 분모가 60의 거듭제곱으로 된 분수도 사용되었다.






순서
지도안완성자료(data)
1.단원명
가. 대단원 : Ⅱ.정수와 유리수
나. 중단원 : 1.정수와 유리수
다.지도안완성자료 , 수학과 학습 지도안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수학과 학습 지도안.hwp( 24 )
설명
수학과 학습 지도안
레포트/인문사회
본 자료(data)는 수학과 학습 지도안입니다. 오늘날의 …(To be continued )
본 자료는 수학과 학습 지도안입니다. 소단원 : §1.정수와 유리수
2. 단원 개관
가. 역사(歷史)적 측면에서
◎ 유리수의 역사(歷史)적 개관
흔히 음수의 槪念은 7세기경 인도에서 발견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것은 당시의 수학적인 브라마굽타(Brahmagupta:588~660?)가 자신의 책 속에서 음수의 槪念을 다루고 있었고, 그것이 13세기쯤 아라비아 숫자와 함께 서양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대 중국(中國)의 한나라 시대의 수학책인 <구장산술(九章算術)>에 양수, 음수의 덧셈과 뺄셈 방법이 서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中國)에서는 브라마굽타보다 더 옛날에 이미 음수가 취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분수는 인류 文化(문화)와 함께 생겨났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를테면 어떤 물건을 분배하기 위하여 자연 발생적으로 분수의 槪念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