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3 01:47
본문
Download :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hwp
같은 취지에서 원고에 대한 퇴직처리일인 1999. 9. 30.부터 3월 이내에 제기된 원고의 이 사건 부당해고구제신청을 적법하다고 본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부당해고구제신청…(省略)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다.
근로기준법 제33조 제1항, 제2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82조 제2항에 의하면,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에 대한 구제신청은 그 행위가 있은 날(계속하는 행위는 그 종료일)부터 3월 이내에 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이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그 효력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 기간은 그 효력발생일부터 기산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Download :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hwp( 82 )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부당해고,구제신청,요건과,절차,관련,판례,법학행정,레포트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법학행정레포트 , 부당해고 구제신청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설명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요건과 절차 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
1.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기간
-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에 대한 구제신청은 그 행위가 있은 날(계속하는 행위는 그 종료일)부터 3월 이내에 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해고 등의 불이익처분이 일정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그 효력을 발생하는 경우에는 위 기간은 그 효력발생일부터 기산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