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표상의 theory 적 모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3 16:36
본문
Download : 기억 표상의 이론적 모형.hwp
2.1. 표상과 관련된 초기의 접근들
2.1.1. 구 연결주의
구 연결주의란 초기 심리학과 행동주의의 입장으로서 철학에서의 경험적 연합(연결)주의의 관점을 그대로 이어받은 입장이다....





Download : 기억 표상의 이론적 모형.hwp( 94 )
기억 표상의 theory 적 모형
표상체계에 있어서 그 구현화의 형식적 체제를 강조할 것인가 아닌가, 또 어떤 체제를 선택할 것인가에 따라 다른 유형의 표상체계가 제시되어 왔다.... , 기억 표상의 이론적 모형인문사회레포트 ,
다.
구 연결주의 표상체계에서 연결망의 마디(node)는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표상체계에 있어서 그 구현화의 형식적 체제를 강조할 것인가 아닌가, 또 어떤 체제를 선택할 것인가에 따라 다른 유형의 표상체계가 제시되어 왔다.,인문사회,레포트
표상체계에 있어서 그 구현화의 형식적 체제를 강조할 것인가 아닌가, 또 어떤 체제를 선택할 것인가에 따라 다른 유형의 표상체계가 제시되어 왔다. 이들 이론(理論)의 내용을 현재의 인지과학 용어를 사용하여 재진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모든 경험의 결과가 자극과 reaction response의 연결망으로 기억에 남는다고 보았고 모든 연결들의 강도를 상정하였고 이 강도에 effect(영향) 을 주는 변인들, 그리고 연결의 양상(촉진적 대 억제적)을 논의하였다. 이 입장에서는 심성이라든가 표상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를 회피하였으나, 외적 세상이 어떠한 형태로든 내적으로 남는다는 것(학습의 결과로)을 긍정하였다. 이제 history(역사) 적으로 타 학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전해 온 심리학적 표상체계 모형들을 살펴보고, 그 모형들을 지지하는, 또는 지지하지 않는 경험적 연구 事例(사례)들과 각 모형들의 長點과 단점 등을 간단히 논의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