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9 21:13
본문
Download : 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hwp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 의약분업의 제도적 틀은 약사법 개정으로 결정이 완료됨.
- 의약품 분류는 1996년까지 등록된 단일제제 의약품 중 147개 처방을 제외한 부분만 완료됨. 147개 미분류 처방, 1997년 이후 신규 및 변경 등록된 단일제제, 복합제제 전체에 대한 분류가 2000년 3월말까지 종료되어야 함.
- 약효동등성 확보를 위한 작업은 아직 처음 되지 않았음.
- 대국민 및 대전문인 교육홍보는 처음 단계임.
III. 의약분업은 국민들의 건강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가. 의약품 오남용 억제
- 의약품의 사용은 꼭 필요한 부분은 보장되어야 하며, 반면 불필요한 부분은 억제되어야 함. 현재는 다음 <그림 1>과 같은 상태에 있음.
- 정책의 assignment는 필요(needs)와 사용(utilization)을 일치시켜 나가는 것임. 의약분업이 바로 이 두 동그라미를 일치시키는 방법임.
- 미충족 필요(unmet needs)의 대표적인 예는 특수질환에 대한 신규 개발 고가 약제들임. 이 문제의 해결은 의료保險 급여의 확대를 통해 가능함.
- 그 외에 눈에 보이지 않는 ‘부적절한 비사용’의 경우가 있음. 의원들이 통상적으로 보유하는 약의 종류는 30-40가지 정도임. 흔히 쓰지 않는 약제를 투약해야 할…(省略)
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






의약분업의쟁점과국민건강
이번 의약분업 방안의 특징과 주요 쟁점에 대해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관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또한, 의약분업의 추진에 있어 앞으로 해야 할 일도 아울러 같이 검토한 자료입니다.
다.의약분업의쟁점과국민건강 , 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순서
Download : 의약분업의 쟁점과 국민건강.hwp( 58 )
이번 의약분업 대책의 특징과 주요 쟁점에 대해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관점’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또한, 의약분업의 추진에 있어 앞으로 해야 할 일도 아울러 같이 검토한 자료(data)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