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마케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09:49
본문
Download : .hwp
빈번히 많이 구입한다는 것은 특정 제품류 중에서 이들 계층의 구매비중이 다른 계층보다 월등히 크다는 것으로, 소위 20:80 법칙 즉 20%의 제품 구매자가 전체 제품 소비량의 80%를 소비한다는 경험적인 볼륨 세그멘테이션(volume segmentation)법칙이 지켜지는 경우이다.
볼륨 세그멘테이션이 가능한 제품에 대해 소득을 바탕으로 표적시장을 설정한다는 점에서 귀족marketing 은 직업, 소득, 교육 정도에 기초한 사회계층에 따른 시장세분화 marketing 과 槪念적인 차이가 있따 하지만 사회계층상 최상층과 중상류층이 통상적인 고소득자라는 것을 제외하면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 그리고 이들을 다국적 마케터에게 방치하기 보다는 이들 타겟에 맞는 제품개발과 marketing 으로 시장을 적극 개발해야 할 것이다.
귀족마케팅 고소득층마케팅 볼륨 세그멘테이션 VIP 마케팅 / (귀족마케팅)
순서
고소득층 시장의 규모와 특성(特性)
설명
작년과 같은 극심한 소비 위축기에도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marketing 활동은 상당히 성공적이었으며, 다른 부분보다 빠른 회복·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따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백화점, 중형 승용차, 중간평형 아파트의 판매부진과 이와 대조적으로 고급백화점의 상대적인 매출액 유지, 고급 승용차와 대형 아파트의 두드러진 판매성과 등은 이의 좋은 예이다.
귀족마케팅 고소득층마케팅 볼륨 세그멘테이션 VIP 마케팅 / (귀족마케팅)
Download : .hwp( 8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IMF 외환위기 중인 지난 해부터 소비의 양극화라는 표현이 빈번히 등장하고 있따 외환위기에 따른 고금리로 인해 예금자산이 많은 사회계층이 고가 제품을 중심으로 활발한 소비활동을 한 반면, 실업과 수입감소 등에 따라 중산층의 소비는 저가의 기능성 제품으로 크게 위축되어 있다는 것이다. 20%의 제품구매자가 80%를 소비한다는 경험적인 볼륨 세그멘테이션법칙에 비추어볼 때 이들은 매우 매력적인 소비집단으로서 많은 advantage(장점) 을 지닌 소비시장으로 보아야 한다.
고소득층, 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위 귀족marketing 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무관심했던 분야중의 하나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9월 발표한 가계소득 조사에 따르면 하위 80%의 소득이 97년 상반기에 비해 14.9% 감소한 반면 상위 20%의 소득은 오히려 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서비스와 주거시설에서 나타나는
귀족marketing 의 의의
다.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marketing 활동을 귀족marketing 이라 한다.
귀족marketing 의 事例(사례)
귀족마케팅 고소득층마케팅 볼륨 세그멘테이션 VIP 마케팅
경기변동에 영향받지 않는 귀족marketing
귀족마케팅
경기변동에 영향받지 않는 귀족marketing
귀족marketing 의 의의





소비자를 소득에 따라 세분화하여 marketing 활동을 전개하거나 소득을 시장세분화의 기본변수 중 하나로 보는 것은 일반적인 marketing 戰略 중의 하나이다.
귀족marketing 은 고소득층, 사회계층(socio-economic status)중 상류층과 중상류층을 대상으로 이들이 빈번히 많이 구입하는 제품류를 marketing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사회의 계층구조를 구분할 때 최상층과 중상류층과의 구분인 세습된 부의 유무라는 변수를 무시하고 현재의 축적된 부나 소득이 시장세분화의 기준변수가 되는 것이다. 이때 마케터는 1명의 대량 구매자를 얻는 것이 16명의 소량 구매자를 얻는 것보다 이익이 되며, 이 경우 마케터는 대량 구매자들이 판매에 기여하는 수준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따 이들 구매자가 고소득층이라는 의미에서 이들에 대한 marketing 활동에 귀족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것이다. 그러므로 귀족marketing 의 대상은 부를 세습한 최상층과 자수성가한 중상류층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