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2 12:34
본문
Download : [역사학]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hwp
이 만력기묘명승자총통은 김지가 만든 승자총통 중에서도 초기의 작품이다. 이런 승자총통은 선조 8년(1575)부터 선조 11년(1578)까지 전라좌수사와 경상병사를 지낸 김지(金 )가 개발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휴대 화기다. 죽절(竹節)은 6마...
![[역사학]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109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B%A7%8C%EB%A0%A5%EC%9D%84%EB%AC%98%EB%AA%85%EC%8A%B9%EC%9E%90%EC%B4%9D%ED%86%B5%EC%97%90%20%EB%8C%80%ED%95%98%EC%97%AC-1091_01.gif)




다. 세종 때 만들어진 우리 나라의 독창적인 소총의 단점을 개량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총의 부리를 길게 하여 사거리를 늘리고 명중률을 높였다. 발사물은 총통과 비슷하여 피령목전(皮翎木箭)과 철탄 15개 정도이며, 사거리는 600보 정도였다고 한다. 문헌에는 대(大)승자총통ㆍ차(次)승자총통ㆍ소(小)승자총통ㆍ별(別)승자총통, 쌍(雙)자총통 등이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기본적인 형태는 부리ㆍ약통ㆍ모병(冒柄)으로 이루어졌으며, 약통이 명확히 구분되고 나무손잡이를 삽입하기 위한 모병이 있는 점이 형태적으로 대형총통과 비교된다된다.
[역사학]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설명
Download : [역사학]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hwp( 53 )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648호 ▒ 지정연월...
역사학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만력을 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648호 ▒ 지정연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만력을묘명승자총통에 대하여.. ▒ 지정번호 보물 제648호 ▒ 지정연월일 1978년 12월 7일 ▒ 시 대 조선 선조 12년(1579) ▒ 규모ㆍ양식 전체길이 56.8cm, 통길이 34.8cm, 입지름 4cm, 무게 4.5kg ▒ 재 료 청동 ▒ 소 유 자 국유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국립중앙박물관 만력기묘명승자총통은 글자 그대로 명(明)나라 만력 7년(1579)에 제작된 승자총통이다. 조선시대 총통을 부를 때, 천자문의 순서를 따라 천(天)ㆍ지(地)ㆍ현(玄)ㆍ황(黃) 등 천자문의 순서에 따라 크기 순으로 이름을 정하는 데, 이 승자총통(勝字銃筒)에서 승(勝)자를 택한 이유는 불문명하다. 대형 화기가 해상전에 주도 사용된 것에 비하여 이 승자총통은 주로 육상에서 사용되어 북방의 여진족을 물리치는 데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승자총통은 선조 16년(1583)년 여진족 니탕개(尼蕩介)의 난을 평정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화기였다. 일반적으로 부리로 화약과 철탄을 장전하고 약선혈에 불을 붙여 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