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IPv6 전환 10년내 완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3 22:06
본문
Download : 20051115.jpg
IPv4→IPv6 전환 10년내 완료
IPv4→IPv6 전환 10년내 완료





◇7조원대 경제 efficacy=IPv6는 수많은 정보단말기에 하나의 인터넷(Internet)주소(IP)를 부여하고 지능형 정보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초 인프라로 활용될 展望(전망) 이다.
◇단계별 IPv6 전환=220V 승압은 가정용 전력의 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높이는 사업으로 지난 73년부터 32년간 연인원 757만명에 총 1조 4000억원이 투입됐다. 휴대인터넷(Internet)(와이브로), 홈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전화(VoIP) 등 차세대 통신서비스의 보급, 확산도 IPv6 전환에 호재로 예상된다
한국전산원의 신상철 IT인프라구축단장은 “IPv4의 IPv6 전환은 경제·기술적 파급efficacy 면에서 최근 완료된 220V 승압과 맞먹는 범국가적 정책사업”이라며 “220V 승압에는 32년이 걸렸으나 IPv6로의 전환은 10년이면 완료될 것”으로 내다봤다. 승압 방식의 탄력적 운영(110V → 110/220V 겸용 → 220V)도 빼놓을 수 없는 성공 요인이다.
주상돈기자@전자신문, sdjoo@etnews.co.kr
한국전산원은 최근에 작성한 ‘인터넷(Internet)주소체계 IPv4의 IPv6전환에 따른 경제efficacy’ 라는 내부 문건을 통해 현재 극소수에 불과한 IPv4/IPv6 병행 사용자가 2010년경 다수로 바뀌고 2015년께는 IPv6 단독 environment(환경) 이 주를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전달망(백본망) 및 가입자망(엑세스망) 인프라는 물론 라우터, 프로토콜 변환 등 각종 통신장비와 정보가전 단말기 교체에 따른 신규 수요도 예상된다
Download : 20051115.jpg( 47 )
레포트 > 기타
IPv4→IPv6 전환 10년내 완료
순서
앞으로 10년 뒤면 국내 인터넷(Internet) 사용자 대부분이 IPv6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될 展望(전망) 이다.
IPv4→IPv6 전환 10년내 완료
설명
IPv6 전환도 정보통신부의 IPv6 보급촉진계획에 따라 단계별(IPv4 → IPv4/IPv6 병행 → IPv6)로 추진된다 현재는 IPv4 사용자가 다수고 IPv4/IPv6 병행 사용자는 극소수지만 2015년에는 반대로 IPv6 단일 environment(환경) 이 주를 이루고 극소수만이 IPv4/IPv6를 병행 사용하게 된다 특히 내년에 출시될 마이크로소프트의 차세대 윈도 운용체계 ‘비스타’는 IPv4와 IPv6를 병행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돼 IPv6 전환을 크게 앞당길 展望(전망) 이다. 한국전산원 측은 “내년 하반기 ‘비스타’ 출시와 4-5년 주기의 PC 교체기간 등을 고려하면 2010년경 다수가 IPv6 environment(환경) 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년부터 2010년까지 IPv6관련 시장 규모 및 경제 efficacy는 약 7조70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함께 IPv4에서 IPv4/IPv6 병행 사용 전환은 5년, IPv6 단일 environment(환경) 전환에는 약 10년 소요될 것으로 예측했다.
다. 사업 초기부터 누전차단기 개발과 적용으로 안전대책을 마련하고 가전제품 개조·교환, 강압기 지급 등 유인정책이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