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 정지용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2-03 10:18
본문
Download : 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 정지용을 중심으로.hwp
일부 해방 정국의 시사적인 내용을 담은 글을 제외하고는, 그의 산문은 단순한 산문이 아닌 한 편의 산문시와 같이 표현되고 있다 여기서는 1940년에 쓴 산문의 한 부분을 보자.
분디는 파릇한 열매가 좁쌀알만 할까 한 것이 아릿하기도 하고 맵사하기도 하여 싸늘한 향취(香臭)가 어금니를 지나 코로 돌아나올 때 창(窓) 밖에 찢는 듯한 바람소리의 탓일지 추운 듯 슬픈 듯한 향수(鄕愁)와 같은 것까지 느껴지는 것이었다... , 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 정지용을 중심으로인문사회레포트 ,
다.
정지용 시의 많은 부분에서 보이는 감각적 이미지들이 이 산문에서도 그대로 구사되…(skip)
이 시에 나오는 서정적 주체는 시인 자신이다. 그리고 그가 이미지에 의존하는 미문가(美文家)였다는 사실은 산문들을 검토하면 쉽게 드러난다. 그리고 시인 정지용은 날로 어려워지는 일제 강점기 말기의 현실을 견디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 정지용을 중심으로.hwp( 86 )
이 시에 나오는 서정적 주체는 시인 자신이다. 그리고 시인 정지용은 날로 어려워지는 일제 강점기 말기의 현실을 견디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고 있따..
자기 의식 표현으로서의 시 -- 정지용을 중심으로
,인문사회,레포트
이 시에 나오는 서정적 주체는 시인 자신이다. 그리고 시인 정지용은 날로 어려워지는 일제 강점기 말기의 현실을 견디고자 하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 인동차를 마시면서 시인 자신을 단련시키고 있다 그렇기에 삼동이 하얀 중에도 자작 나무 불이 타오르고, 파릇한 무순이 돋아나고, 흙냄새를 간직한 훈훈한 김이 서릴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부터 활발히 쓰기 처음 하는 산문에서도 이런 초기 처음 에서 보였던 이미지즘의 모습은 잘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