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18 09:17
본문
Download :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hwp
⑥ 감정은 신체속에 특수하게 자리 잡으며, 다른 징후의 출현과 함께만 진단이 가능하다.
순서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다.
⑤ 감정은 그 반면에 언어에 대항하여 잠정적인 것을 나타내며 이는 고정된 정적 의미에서의 존재보다도 형성되는 것을 위한 예측할 수 없는 방향을 나타낸다(Boler:420).
⑥ 실재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감정이 일차적으로 결합하여 이를 인식 가능하게 하며, 정서는 이러한 인식결과를 언어적으로 구성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지성은 정서로부터 일어나며 정서에 뿌리를 두고 지성의 성장도 정서로부터 가능하다. 정서는 觀察되는 것, 진술되는 것과 상관없이 개인자신의 감정 표현자체로서 존재하고 그 자체로 인정되어야 한다.
③ 사고를 포함한 모든 인간활동이 의도적이며 동기를 가질 때 이는 정서와 결합되어 질 수 있따 인간의 정서생활 속에서 인간은 실재와 직접적 접촉을 하며, 사고의 목적이 실재의 이해라 하더라도 실재에 대한 인간의 감정이 이해를 가능하게 함에 틀림없다. 여기서 정서가 주체의 단순한 감각작용은 아니다.
② 인간은 정서적으로 사물에 접근하고 파악하기에 정서가 인간생활의 key point(핵심) 이며 본질적 요소가 된 다.
③ 정서성은 모든 존재상태의 부분이고 꾸러미이다. 오직 감정을 통해서만 인간은 실재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이다(Dunlop)
④ 감정이 실재이해의 중요한 방식이며 인간이 정서적으로 사고하고 이해할지라도 인간의 감정과 정서는 alteration(변화) 무상하며 불명확하고 무의식적인 것이 많기에 이를 발견하고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問題點)을 갖는다. 학교교육에서 정서와 감定義(정이) 개발이 지식과 이해의 성장에도 동일하게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따
⑦ 인간의 감정은 정서상태를 야기하면서 신체를 통해 계속 표현되는 것으로 볼 수 있따 감정은 인간이 다른 것을 이해하는 방식일 뿐만 아니라 신체와 자신 사이의 어떤 전 활동적 만남을 그리는 것이다. 정서상태를 공유된 觀察용어로서 서술함은 정서의 공적담론에 의존하기에 정서상태의 맥락성과 감정성 및 신체성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① 객관적 체계적으로 서술하기 어려운 인간의 마음의 현상.
② 일상생활에서 정서의 역활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을지라도 정서현상의 철학적 담론은 엄격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③ 이론(理論)적 담론은 객관적 공적 합리성에 의한 추론의 과정에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인문,심리,비인지적,정서관과,정서교육,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인…(To be continued )
⑦ 정서용어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하며 태도와 성향적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감정과 정서가 사물에 대한 지각, 이해, 가치 확인 등을 가능하게 하기에 이들은 결코 인식에 종속되는 저급한 것이 아니다.
Download : [인문][심리]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hwp( 59 )
비인지적 정서관과 정서교육
1. 정서의 비인지적 담론
(1) 정서의 의미
인간행동에 동기로 작용, 행동의 추진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감정 측면을 갖는 특수한 인간경험의 일종.
(2) 성향적 정서와 돌출상태로서 정서
성향적 정서 : 돌출적 감정이나 감각작용 없이 존재. (사랑, 증오)돌출적 정서 :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는 비자발적 alteration(변화) 를 야기하며 명시적 reaction response을 수반 (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