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25 21:32
본문
Download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hwp
그러나 『倭語類解』에서는 ‘特送 특송 ○ 즉소`, ‘副特送 부특송 ○ 후즉소’로 나타난다. 이 용어는...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Download :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hwp( 44 )
,기타,레포트






순서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 ‘특송’의 ‘특’은 구개음화된 ‘ㅈ(ㅊ)’fh 차용되어 Japan어 음절구조에 따라 ‘즈구’가 되었고 ‘송’은 ‘소’의 형태가 된 것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따 여기서 나타난 ‘いちはんつくそき’, ‘いとくそき’, ‘(にはん)つそき’는 모두 조선어에서 차용된 어휘로 불 수 있기 때문에 이 alteration(변화) 는 조선어 차용어의 형태alteration(변화) 로 볼 수 있따 여기서는 중간본의 ‘いつとくそうし’가 조선어 차용어 ‘いとくそき’로 대치된 예로 볼 수 있따 중간본에서는 개수본에 나타난 조선어 차용 어휘가 Japan어 어휘로 대치된 예가 많은데 (041)는 특이한 예라고 할 수 있따
(59) (395)いていれ(10下-4b) : いていり(10下-4a)
(小学)에서는 ‘いでいる(出で入る)’로 해서 “出たり入ったりする”로 설명(explanation)하고 있따 용…(To be continued )
(391)ききおよひ(10下-2b) : うけたまわりおよひ(10下-2b)△
다. 이 용어는...
설명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 이 용어는 『捷解新語』의 개수본 및 중간본에서 ‘にとくそうし(二特送使)’로 수정되었다.
첩해신어 어휘의 계량적 고찰
정승혜(1999)는 원간본 권1-8a, 권2-14a에 나타난 ‘つくそき’를 들어 “‘つくそき(特送)’도 조선어를 차용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