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20 19:27
본문
Download :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하여.hwp
강근골(强筋骨) 오가피(五加皮), 호골(虎骨), 상기생(桑寄生)
3.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비위의 습(濕)을 방향성 약물로 치료
창출(蒼朮), 후박(厚朴), 곽향(藿香), 사인(砂仁)
4. 이수삼습약(利水滲濕藥)
수습(水濕)을 제거가. 이수퇴종(利水退腫)
복령(茯苓), 택사(澤瀉)
나. 이수통림(利水通淋)
목통(木通)
다.
레포트/의약보건
다.
가. 청열해독약(淸熱解毒藥)
금은화(金銀花), 자화지정(紫花地丁)나. 청허열약(淸虛熱藥)
청호(靑蒿)1. 사하약(瀉下藥)
설사(泄瀉)를 유도
변비(便秘), 변비(便秘)와 관련된 병증
가. 공하약(攻下藥)
대황(大黃), 망초(芒硝)
나. 윤하약(潤下藥)
마자인(麻子仁)
2. 거풍습약(袪風濕藥)
풍한습(風寒濕)으로 인한 질병 : 사지관절의 통증, 부종(浮腫), 근골의 쇠약
가. 거풍습지통(祛風濕止痛)
독활(獨活), 위령선(威靈仙)
나. 서근활락(舒筋活絡)
모과(木瓜)
다.전통적인본초의분류방식에관하여 ,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하여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설명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한 글입니다. 이습퇴황(利濕退黃)
…(생략(省略))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하여
Download :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하여.hwp( 95 )
순서
전통적인본초의분류방식에관하여
전통적인 본초의 분류방식에 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