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의 모음체계와 변천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8 16:36
본문
Download : 15세기의 모음체계와 변천과정.hwp
`ㅐ, ㅔ, ㅚ`가 없고 `·`가 더 있었는 반면, 과거 고대 국어를 보면 중세 국어와 달리 5모음 체계였다. 이러한 시대의 글자 체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 그 변천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조사하였습니다. 글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분류한 기본자인 `·, ㅡ, ㅣ`와 초출자 4개 `ㅗ, ㅏ, ㅜ, ㅓ`가 중세국어의 단모음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15세기의모음체계와변천과정
Download : 15세기의 모음체계와 변천과정.hwp( 79 )
1) 15세기의 단모음체계
우선 15세기의 단모음체계를 보면 중세 국어의 단모음은 /ㅣ, ㅡ, ㅓ, ㅏ, ㅜ, ㅗ,·/ 의 7모음 체계이다. 결국 ’조선관역어‘를 보면 ’ㅡ`는 14세기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음으로, 14세기 이전까지는 5모음 체계, 그 이후에 6모음 체계가 된 것을 알 수 있따 이러한 6모음 체계에서 ‘·’가 추가되어…(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5세기 중엽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기도 하였던 만큼 많은 음운 변화가 있었습니다.15세기의모음체계와변천과정 , 15세기의 모음체계와 변천과정인문사회레포트 ,
다. 현대국어 9모음보다 둘이 적다.
15세기의 모음체계와 변천과정
15세기 중엽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기도 하였던 만큼 많은 음운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대의 글자 체계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 그 변천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조사하였습니다. /i, e, a, ü, u/ 모음체계가 그 것인데, 이를 보면 고대국어와 달리 중세 국어는 ‘ㅡ’와 ‘’ 두 개의 모음이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따 그리고 이 중 ‘ㅡ`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조선관역어‘(15세기 초의 data(資料)이다)를 보면 ‘ㅡ’ 음이 다른 모음들과 변별되어 사용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아볼 수 있따 ‘ㅡ`는 14세기 이후에 생긴 모음으로 이 모음의 음가는 [ə]에 가까운 것으로 추정되며, 이 음의 발생은 음절말 자음의 절음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