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雁(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1 21:12
본문
Download : 歸雁(귀안).hwp
고향을 그리워하는 ‘망향’의 주제를 단적으로 표현한 부분인데 고향에 가지 못하는 작자의 심정을 기러기에 투영함으로써 애절한 향수를 더욱 짙게 그려 내고 있따
[전문 풀이]
봄에 와 있는 만 리 밖의 나그네는 (객지에서 봄을 맞는 나그네)
난이 그치거든 어느 해에 돌아갈까? (고향을 그리는 작자의 심정)
강성의 기러기 (강성의 기러기에 대한 부러움)
똑바로 높이 북쪽으로 날아가니 애를 끊는구나.(고향을 그리는 작자의 심정)
[core 정리(整理) ]
지은이 - 두보(杜甫, 712-770) 당(唐)의 시인.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 중국(China)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drop)
보 왯 萬里(만리)옛 나...
,기타,레포트
설명
歸雁(귀안)
레포트/기타
Download : 歸雁(귀안).hwp( 91 )
왯 : 와 있는
왯 : 와 있는 긋거든 : 그치거든. 평정하거든 긋노라 : 끊노라 보 왯 萬里(만리)옛 나... , 歸雁(귀안)기타레포트 ,
_hwp_01.gif)
_hwp_02.gif)
긋거든 : 그치거든. 평정하거든
순서
긋노라 : 끊노라
다.
노피 正(정)히 北(북)으로 라가매 애 긋노라. : 고향인 북쪽으로 날아가는 기러기를 보니 창자가 끊어질 듯이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복받친다. ‘나그네’는 뒤의 ‘기러기’와 대칭을 이룬다.
왯 : 와 있는
긋거든 : 그치거든. 평정하거든
긋노라 : 끊노라
보 왯 萬里(만리)옛 나그내 : 안녹산의 난으로 유랑 생활을 처음 하여, 피난지인 성도에서 다시 봄을 맞이한 것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