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곽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06 02:52
본문
Download : 성곽에 대하여_120429.hwp
이러한 분류외에도 지리적 위치에 따라 國境城, 海岸城, 江岸城, 內陸城등으로, 성곽의 중복도에 따라 單廓城과 複廓城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Download : 성곽에 대하여_120429.hwp( 31 )
성곽에 대하여
순서
평지성(平地城) 평지에 축성한 성곽으로 산성과 비교했을 때 성벽에서 방어를 해야 하므로 성벽이 크고 축성시 공역이 많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지리적 방어력을 제외한 기타의 공간활용, 관측, 수원확보등 다른 측면에서는 산성보다 훨씬 유리하였다.(서산의 해미읍성, 수원의 화성)
기능에 의한 분류
성곽은 그 기능에 따라 창성(倉城:창고의 기능), 鎭城·堡·戍城(국경지대나 해안 또는 내륙의 요새에 설치된 성곽), 영성(營城:진성이나 보, 수성과 유사한 성격을 지님)으로 구분되지만 다른 성곽과 구별될수 있을 만큼 특별히 다른 特性(특성)을 지닌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평지성(平地城)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평지성(平地城)
평지에 축성한 성곽으로 산성과 비교했을 때 성벽에서 방어를 해야 하므로 성벽이 크고 축성시 공역이 많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 성곽에 대하여공학기술레포트 ,
설명
평지에 축성한 성곽으로 산성과 비교했을 때 성벽에서 방어를 해야 하므로 성벽이 크고 축성시 공역이 많이 소요되었다.
맺음말 - 한국 성곽의 특징
우리나라는 성이 발전한 china과 다른 特性(특성)들이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투비컨티뉴드 )
다.
평산성(平山城)
구릉지와 평탄지를 각기 일부씩 포함하고 있는 지세에 축조된 성곽을 말한다. 평면형태가 성벽 축조에 유리한 지형을 따라 축조하여 원형에 가까운 형태가 많으며, 대부분 읍성이 이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