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리서치]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3 19:31
본문
Download : 20030423.jpg
전체의 절반이 넘는 56.7%가 월 2∼3회 통화 연결음을 바꾼다고 응답했으며 심지어는 거의 바꾸지 않는다는 응답도 32.6%에 달했다. 이에 비해 주 2∼3회, 거의 매일 바꾼다는 응답은 각각 9.3%와 1.3%에 불과했다.
Download : 20030423.jpg( 18 )
다.
전자신문사와 online 리서치 전문업체 엠브레인(대표 최인수 http://www.embrain.com)이 지난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전국 13세 이상 59세 이하 인터넷(Internet) 이용자 2300명(남녀 각 1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통화 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55.1%가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응답했다.
[e리서치]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e리서치]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설명
통화 연결음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향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71.4%에 달해 이 서비스가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레포트 > 기타
통화 연결음으로 가장 인기가 있는 장르는 가요(47.9%)인 것으로 분석됐고 다음으로는 드라마·영화·CF(20.6%), 팝·클래식·재즈(14.7%), 멘트·effect음(13.7%) 등의 순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주로 개성표현(47.9%)을 위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다음으로 유행추구(21.4%), 상대방에 대한 배려(19.7%), 서비스 가입 당시 권유(9%)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자들은 그러나 대부분이 통화 연결음을 자주 바꾸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내용과 요금 모두 만족하는 경우와 모두 불만족인 경우는 각각 11.7%와 10.5%로 요금은 만족하지만 내용은 불만인 경우는 1.9%로 집계됐다.
서비스 이용자들은 대체로 통화 연결음 서비스에 대해 내용에는 만족하지만 요금은 비싸다(75.9%)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황도연기자 dyhwang@etnews.co.kr>
통화 연결음 서비스가 빠른 속도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별로는 나이가 어릴수록 개성표현을, 나이가 많을수록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주된 서비스 이용 목적으로 꼽았다.
[e리서치]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e리서치]통화연결음 서비스 사용도
순서
통화 연결음을 주로 다운로드하는 곳은 인터넷(Internet) 서비스(61.4%)였으며 다음으로 700서비스(19.7%), 휴대폰 무선 네트워크(18.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