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구호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6 18:33
본문
Download : .hwp
4. 改善(개선) 점
순서
현대(1960년대~) : 다목적댐을 건설하여 적극적인 재해 사전대비책을 마련, 국가경제력의 증가에 따라 재해발생시 이재민 장기구호, 주택복구 및 도로교량, 항만복구 등 항구적인 구호 및 복구 사업을 실시하여 재난을 효율적으로 극복
1) 목적 (동법 제1조) : 비상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 응급적인 구호를 행함으로써 재해의복귀, 이재민의 보호와 사회질서의 유지를 기한다.(헌법 제34조 6항) → 국가의 책임 강조
․1997년 재해구호법 일부 개정
재해구호법 비상재해 대한적십자사 / (사회복지법제)
Download : .hwp( 56 )
설명
재해구호법 비상재해 대한적십자사
재해구호법
재해구호법 비상재해 대한적십자사 / (사회복지법제)
① 서울특별시에 있어서는 50세대이상, 광역시에 있어서는 30세대 이상, 시․군에 있어서는 20세대이상의 이재자가 동시에 집단적으로 발생한 경우
2. 입법과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본법에 의한 구호는 한해, 풍해, 수해, 화재 기타의 재해로 인하여 동일한 지역 내에서 다수의 이재자가 발생하여 응급적인 구호의 필요가 있을 때에 이를 행한다.
2. 입법과정
~조선시대까지 : 재해를 극소화하는 사전대비책에 불과, 규모나 방법이 부족
다.
․재해의 原因이 사회에 있다는 연대성의 이념에서 출발
3) 발달과정
1. 의의
1. 의의
동법 시행령 제1조
2) 의의 : 여러 종류의 자연적․인위적 재해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극복하고 새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조 (목적)
3. 내용
․1962년 재해구호법 제정 - 政府의 책임 하에 민간기관과 함께 구호사업을 전개
3. 내용
제2조 (구호의 대상)
본법은 비상재해가 발생하였을 때에 응급적인 구호를 행함으로써 재해의 복구, 이재민의 보호와 사회질서의 유지를 기함을 목적으로 한다.
4) 필요성 : 재해로 인하여 피해를 입은 이재민이나 가족이 재해복구만으로 완전한 정상생활을 하지 못하는 경우, 그 재해로 인하여 더 심각한 문제들이 역동적으로 발생 할 수 있으므로 항구적으로 종합적인 대책이 강구, 경제적이고 건설적인 접근과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 조항의 현실화가 필요
국가는 재해를 예방하고 그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